수입차 내비, 업데이트 주기 길고 비용은 비싸
수입차 내비, 업데이트 주기 길고 비용은 비싸
  • 김종렬
  • 승인 2014.08.19 12: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스트 셀링 28개 모델 조사

기본장착으로 소비자 선택 제한

국산 2개월마다 무료교체 ‘대조’
# 수입 자동차를 구입한 장모(52)씨는 장착한 매립형 내비게이션이 목적지와는 상관없는 엉뚱한 곳으로 길을 안내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속 단속카메라 위치도 잘 못 짚어 불편함이 따랐다. 매립형이라 교체도 쉽지않아 AS센터를 찾았지만 “처음부터 해외현지에서 생산됐기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지 않다”는 답변을 들어야 했다. 장씨는 “내비게이션의 오류라면 전적으로 제조사에서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며 답답해했다.

수입자동차 업체들이 대부분의 모델에 매립형 내비게이션을 의무 장착해 소비자들의 불편뿐만 아니라 선택을 제한하는 한편 업데이트를 자주 해주지도 않으면서 비싼 비용을 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상위권을 다투는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의 경우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주기가 국산 자동차에 비해 평균 3배 이상 길뿐 아니라 매번 10만원이 넘는 비용을 물리고 있다.

또 국산 내비게이션을 장착하고 싶어도 수입차 업체들이 시스템 호환 문제로 인한 오류 등을 이유로 AS를 해주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어 비싸고 불편한 수입 내비게이션을 교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19일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가 대표적인 수입차 제조사인 BMW·메르세데스-벤츠·폭스바겐·아우디 4개사의 2014년 출시 및 베스트셀링카 28개 모델의 내비게이션 설치현황을 조사한 결과 23개 모델(82.1%)이 출고 시 매립으로 기본 장착을 하고 그 중 절반이 넘는 16개 모델(57.1%)이 독일 본사에서 개발 제작한 수입 내비게이션이었다.

조사대상 가운데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장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델은 5개(17.9%)에 불과했다.

또 내비게이션이 기본 장착되는 23개 모델 가운데 업데이트 교체주기가 6개월 이상인 모델이 16개(69.6%)로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국산과 동일하게 2개월인 모델은 7개(30.4%)에 그쳤다.

국내 수입차 1위인 BMW는 90% 이상 독일 본사에서 제작한 수입 내비게이션을 장착해 출고했으며, 아우디 역시 소형차인 A3의 일부 모델을 제외한 전 차종에 자사 개발 내비게이션을 기본 설치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CLA 클래스 전차종과 E클래스 일부 차종은 현대모비스와 공동 개발한 내비게이션을, 나머지 차종은 독일 본사에서 제작한 수입 내비게이션을 기본 장착하고 있다.

다만 폭스바겐은 경쟁 3사와 달리 소형차 폴로와 골프 1.6 TDI를 제외한 전 차종에 국내모델인 지니(현대엠엔소프트 제작) 내비게이션을 국내 PDI센터에서 고객 인도전에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각 수입 완성차업체가 ‘한국형’이라며 본사에서 제작한 수입 내비게이션의 업데이트 주기가 국산에 비해 크게 길고 비용이 비싼데도 소비자들이 국산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없어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다는 점이다.

도로와 건물 등 지도데이터가 연간 20~30%가량 변하는 국내 도로사정 특성상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수입차 순정 내비게이션의 업데이트 주기는 보통 6개월에서 1년에 달했다.

BMW는 순정 내비게이션에 대해 6개월마다 업데이트를 해주면서 10만9천원을 받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C220 블루텍과 E250CDI 4matic, C200, S350 블루텍 등에 대해서는 1년에 한 번 밖에 업데이트를 해주지 않으면서 비용으로 12만1천원을 물리고 있다. 같은 메르세데스 벤츠라도 현대모비스에서 제작한 국산 내비게이션을 장착한 모델은 2개월마다 무료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는 것과 대조된다. 아우디도 순정 내비게이션을 장착한 모델에 대해 6개월에 한 번씩 업데이트를 해주면서 10만원을 받고 있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대표는 “수입차들이 불편한 내비게이션을 기본 사양으로 장착시켜 출고하는 시스템은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며 “업데이트 주기 및 비용 등 사후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김종렬기자 daemun@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