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불화화합물, 극히 미량도 문제될 만큼 위험한 물질”
“과불화화합물, 극히 미량도 문제될 만큼 위험한 물질”
  • 정은빈
  • 승인 2018.06.25 17:5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 박사’ 이태관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교수
페놀보다 유해성 덜하지 않아
몸속 농축되고 배출, 5년 이상
임신 장애·기형아 발생 등 우려
어린이·노약자들에는 더 심각
끊이면 물 날아가고 물질은 남아
이태관_교수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 등 과불화화합물 3종을 둘러싼 시민들의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물 박사’ 이태관(55·사진)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교수는 “과불화화합물이 수돗물에 함유된 양은 극히 미량”이라면서도 “이렇게 적은 양인데도 문제가 될 만큼 위험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게 핵심”이라고 역설했다.

이 교수는 물 문제에 관해서는 대표적 전문가로 꼽힌다. 저서 ‘전문가는 어떤 물을 마실까(2013)’는 지난 2014년 환경부 지정 우수환경도서로 선정됐다.

-과불화화합물 3종의 검출량이 발표됐지만 시민들은 그 정도를 체감하기 힘들다. 쉽게 말하자면?

△과불화화합물 수치에 쓰이는 ppt 등은 아주 미량에 붙여 쓰는 단위다. 1ppm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1ℓ짜리 우유 한 통에 1마이크로그램(mg) 상당의 물질이 들어간 셈이다. 이를 비롯해 1ppt, 1나노그램(ng) 퍼 리터 등은 분석하기도 힘들 정도로 아주 적은 양이다.

양이 적다는 것은 검출이 어렵다는 뜻이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이렇게 적은 양도 문제가 될 만큼 심각한 물질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과불화화합물은 페놀과 달리 냄새가 나지 않아 가볍게 여기는 사람이 많은데 결코 유해성이 덜하지 않다. 눈곱만한 알약도 사람을 죽이거나 살릴 수 있다.

-환경부는 문제가 된 물질 중 과불화옥탄산만 발암물질이라고 했다.

△발암물질 분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문제는 이 물질들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라는 점이다. 이런 물질들은 분해가 안 된다. 전문가들은 자연 분해까지 41년 정도가 걸린다고 본다. 사람이 섭취 시 몸속에 농축되고 배출까지 5년이 넘게 걸린다.

-과불화화합물에 노출 시 우려되는 유해성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 물질들은 내분비교란물질, 즉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친수성이 높아 혈중 농도도 높게 나타난다. 내분비교란물질은 체내에서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예상하기 힘든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임신 장애, 기형아 발생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영·유아와 어린이, 노인 등 노약자에는 더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불화화합물 3종 모두 대구 외 지역에서도 소량 검출됐다. 아예 검출이 안 될 수는 없는 물질인가?

△이론적으로는 오존 처리나 활성탄 처리를 하면 분해, 흡착을 통해 제거된다. 하지만 매곡 정수장에서 하루 처리하는 물이 80만t에 육박한다. 급속 정수처리시스템을 거칠 수밖에 없으니 10%밖에 제거가 안 된다. 과불화화합물 같은 유해물질이 또 다시 낙동강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정수 시스템을 대폭 개선할 필요가 있다.

-끓여도 휘발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민들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가정에서 물을 끓여봤자 최고 온도가 100도다. 해당 물질의 끓는점은 200도기 때문에 수돗물을 끓이면 물만 날아가고 물질은 그대로 남는다. 유해물질을 농축시켜 마시게 되는 셈이다. 유해물질이 섞인 수돗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민들은 생수를 사 마시거나 가정 내 정수기를 설치하는 수밖에 없다.

-구미 산단에서 배출원을 찾아 물질 배출을 차단했다고 했다. 정부와 대구시의 향후 대책에 관해 추가로 고려해야 할 점은?

△배출원 차단과 활성탄처리법 등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아니다. 오염물질의 낙동강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위험 물질을 다루는 공장 등을 낙동강 인근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전하거나 산업 폐수를 산업단지 내에서 재이용하는 폐쇄 시스템(Closed System)을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대구시는 반복되는 수돗물 안전성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어렵다면 시민들에게 수돗물을 안심하고 마시라고 권하지 말고 수돗물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은빈기자 silverbin@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