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다음에 올 것은
남북정상회담 다음에 올 것은
  • 승인 2018.10.01 20: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대열
전북대 초빙교수
평양이 한 바탕 난리가 났다. 직접 보지 못해서 TV로 접하는 그림이 전부였지만 시시콜콜 카메라기자들은 일행들의 움직임을 샅샅이 잡아냈다. 작년까지만 해도 김정은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인상은 썩 좋은 게 아니었다. 때마침 평창동계 올림픽이 다가오자 국내보다 오히려 국외에서 한국전쟁이 재발될 수 있다는 염려가 맹렬하게 떠돌았다. 심지어 어떤 유명선수는 참가를 포기한다고까지 발표했다. 이 위기를 극복해낸 게 문재인대통령이다. 김정은은 신년사를 통해서 전격적으로 평창올림픽 참가를 선언했고 여자하키 팀은 남북단일팀까지 구성할 정도로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그리고 이뤄낸 성과가 4·27판문점회담이다. 북한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판문점 휴전선을 넘어와 남한 땅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판문점선언까지 내놨다. 여기서 합의한 가장 중요한 것은 김정은이 미국 트럼프대통령과 회담하겠다는 확답이었다. 단 한 차례도 만나지 않았던 북한지도자가 미국대통령과 담판성격의 회담을 갖는다는 뉴스는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북핵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가 되리라고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대통령끼리의 회담은 형식적일 수밖에 없고 사전에 모든 합의가 실무회담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인데 북한은 김계관과 최선희 등을 앞세워 치고 빠지는 수법으로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 프로그램에 협조하기를 거부했다. 전형적인 북한의 벼랑 끝 외교수법이다. 이미 정해진 싱가포르회담이 무산될 위험이 커졌고 드디어 트럼프 특유의 협상술로 전격적으로 북미회담을 취소해 버렸다. 이에 당황한 북한은 김계관 등의 막말을 사과하고 김정은의 제안으로 판문점에서 문재인과 제2차 회담을 갖게 된다. 이 회담은 행여 북미회담이 완전 무산될지 모른다는 북한의 다급한 입장 때문에 열린 것이었으며 운전자를 자처하는 문재인에게는 김·트를 중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중재는 훌륭하게 성공했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은 아무 것도 얻어낸 것이 없다. 비핵화라는 빈말만 무성했지 이를 실행에 옮길 로드맵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협상의 달인을 자처하는 트럼프의 패배였다. 폼페이오를 몇 차례 평양에 보내고서도 김정은조차 면담하지 못하는 수모를 겪으며 비핵화는 북한의 외교협상 무기가 되었다. 지금 양상은 종전선언을 먼저 하자는 북한과 핵물질과 핵탄두 등에 대한 구체적 비핵 시간표를 요구하는 미국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선 느낌이다.

이 시점에 문재인이 200명의 수행원을 이끌고 평양에 간 것이다. 평양은 예상대로 곱게 한복을 차려입은 시민들로 꽃밭을 이루며 열광했다. 평양 옥류관 냉면은 기본계획표에 나와 있는 메뉴지만 돌아오는 날 백두산 방문은 깜짝 쇼처럼 연출되었다. 어느 정치인이고 국민의 감성에 다가서는 것을 좋아한다. 문재인은 이 방면에 탁월한 탁현민 참모까지 거느렸다. 이번에도 감성적인 장면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두 정상의 합의다. 그것도 북핵문제의 해결 없이는 어떤 해결도 된 게 아니라는 현실을 두 정상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남북만 합의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유엔의 경제적 제재대상인 북한을 한국이 대신 풀어줄 수도 없다. 그것은 북한 몫이다. 이번 두 정상은 이 난제의 해결에 한결 다가갔다. 김정은의 육성으로 “핵 없는 세상” “전쟁 없는 세상”을 확언한 것이다. 평양에서 돌아오자마자 뉴욕 유엔총회로 날아갔고 트럼프와의 정상회담도 했다. 김정은은 이 기회를 문재인에게 선사한 것이다. 문재인은 트럼프를 만나 김정은과의 합의문 외에 구두 합의한 사항도 따로 밝혔다. 두 정상 간에 대외적으로 밝히기 어려운 해결책에 합의했음을 암시한 것이다.

우리는 문재인의 중재로 김정은과 트럼프가 다시 한 번 마지막 담판회담을 갖기를 못내 희망한다. 어차피 김정은의 결심만 서면 남북미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으로 한반도의 미래는 밝아진다. 꼭 통일이 아니어도 핵과 전쟁 없는 나라가 된다면 그만이다. 그 날이 멀지 않음을 직감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