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이혼과 재혼
황혼이혼과 재혼
  • 승인 2019.02.14 20: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현숙 교육학 박사
리스토리 결혼정보 대표
요즘 황혼이혼의 증가와 함께 황혼의 로맨스를 즐기는 황혼재혼 또한 늘고 있는 추세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삶과 집단주의 사회에서 참고 살았던 여성들의 의식이 양성평등의 사회정서와 맞물려 일어나는 현상이다. 혹자는 나이와 함께 오는 호르몬의 변화도 원인의 하나라고 말한다. 남성의 여성화, 여성의 남성화 현상으로, 남성은 소극적·가정적으로 변하고 여성은 남성호르몬 수치가 올라가면서 적극적·사회적 성향으로 변화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바뀌게 되기도 한다. 중년의 여성들은 자녀들이 다 성장하고 엄마로서의 책임과 역할에서 벗어나면서 희생으로 점철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평균수명이 70~80세이던 시절에는 ‘기왕에 여태껏 참고 살았는데 이제와서 무슨 이혼’하며 남은 생의 행복을 스스로 포기하였지만 100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앞으로 살 날이 얼마나 긴데’ 하며 자신의 생을 스스로 선택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졌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고 경제활동 기회가 늘어나는 현상도 황혼이혼의 한 원인이 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여성 뿐만이 아니라 남성도 황혼이혼을 신청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황혼이혼과 함께 황혼재혼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일본에서 가부장적 삶에 눌려 살던 중년 여성들이 남편이 퇴직한 후 졸혼을 원하는 신풍속도로 인해 일본 남성들이 긴장하고 있다는 사례도 유사한 맥락이 아닐까 한다. 100세 시대에 서로 맞지 않는 남녀가 한 이불속에서 동상이몽을 꿈꾸면서 살아간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서로를 위한 선택일 수도 있다.

황혼재혼은 이혼 후 남은 긴 시간을 함께 하는 동반자적인 역할도 있지만, 젊을 때 앞뒤 돌아볼 겨를없이 살아온 시간을 만회할 문화와 정서를 함께 할 수 있는 친구로서의 역할도 중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외롭고 나약한 존재이다. 고독사는 외로움과 사회적 관계의 소외에서 오는 질병이다. 황혼이혼후 오랜 친구처럼 말벗이 필요해서 재혼을 꿈꾸는 사람들도 많다. 황혼 재혼을 원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얘기한다. 텅 빈 집에 들어 가는 게 싫고, 혼자 밥먹는 것이 싫어서 동반자가 필요하다. 말이 통하고 서로 배려할 줄 아는 좋은 파트너를 만나면, 같이 손잡고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하고 싶다고 했다. 맛집도 찾아다니고 경치좋은 곳을 다니며 인생을 관조하는 여유를 누려보고 싶다고 했다.

사랑하는 아내와 사별을 하고 공직에서 퇴임 후 강의도 하고 봉사도 하며 멋진 삶을 사는 분이 있었다. 재혼을 생각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부인 추모 10주년에 책을 내기로 계획한다 했다. 아내와 처음 만났을 때 주고받은 연애편지와 생전에 아이들에게 쓴 편지를 다 모아두었다고 한다.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승화시키려는 힘이 느껴졌다. 비록 사랑하는 이가 떠났어도 마음속에 항상 두고 있으니 외롭거나 힘들지 않다고 했다.

부부가 함께 있어도 늘 허전하고 외롭다면, 한 공간에서 대화없이 남보다 못한 관계로 지낸다면 건강에도 해롭다.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고 자식들 눈치 보느라 ‘쇼윈도우 부부’로 살며 행복한 삶을 포기하는 것은 상대방에게도 자식에게도 도움이 안된다. 사랑과 행복은 개인의 선택이다. 사람은 누구든지 행복할 권리가 있다. 불가피한 사연으로 황혼이혼을 선택했다 할지라도 무기력하게 남은 인생을 외로움에 방치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새롭게 개척하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사회의 일원으로써 주체력을 가지고 제2의 삶을 설계하는 것이다. 여기에 황혼재혼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혼자 가는 길과, 동반자와 함께 가는 길을 선택하는 것도 개인의 몫이다. 어느 길이 정답이라고는 할 수 없다.

혼자 보다는 둘이 낫다. 효자보다는 악처가 낫다.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더 건강하고 사회활동도 더 활발하다. 함께 앉는 밥상, 함께 하는 산책이 사람사는 냄새가 배여 더 포근하지 않을까. 필자의 사견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