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박수진 교수팀, 젤리 원료 ‘한천’으로 배터리 열화현상 해결
포스텍 박수진 교수팀, 젤리 원료 ‘한천’으로 배터리 열화현상 해결
  • 이시형
  • 승인 2019.04.03 21: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 상용화 앞당길 고출력 이차전지 구현
박수진교수-포스텍 (1)
박수진
송우진
송우진
최남순교수-울산과학기술원
최남순
한정구
한정구
신명수
신명수


전기자동차나 스마트폰과 같이 지속해서 충전과 방전을 계속해야 하는 이차전지는 충전할 때 열이 나는 열화현상을 잡아야 한다. 열화현상이 일어나면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는 등 효율이 떨어지고 수명까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팀이 젤리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는 한천(agar)을 활용해 배터리의 열화현상 문제점을 해결했다.

3일 포스텍 화학과 박수진 교수·송우진 박사팀은 UNIST 최남순 교수·한정구 박사·신명수 연구팀, 울산과학대학교 유승민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온 배터리의 열화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한천 기반의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고용량의 양극 물질(LMO, LNMO) 기반 배터리에 적용해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고출력의 리튬이온 전지를 만들었다. 이 연구 성과는 세계적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유기 전해질 기반 리튬 이차전지는 고온 환경에서 불안정한 반응을 보여 양극 물질을 공격해 전해액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현상 때문에 고전압 고용량의 리튬 이차전지는 고온에서 성능이 약화하고 이 점은 전기 자동차 상용화의 발목을 붙잡고 있다.

연구팀은 이런 한천의 성질을 활용하기 위해 유기 실리콘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한천의 친수성을 조절했고, 상을 분리하는 상전이(相轉移) 방법을 사용해 균일한 구멍이 많이 있는 고분자 막을 개발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분리막은 유연하면서도 고온에서 열변형 없이 다공성 구조를 유지하는 특성을 보였다. 또 한천을 이용해 전극을 물리적으로 안정화하는 역할의 양극재 바인더를 개발하기도 했다.

한천 기반의 분리막과 바인더는 기존에 사용하던 리튬염(LiPF6) 기반 전해질만 사용했음에도, 고온에서 불안정한 반응을 억제하고 용출된 양극 물질을 흡착해 안정성을 높였다. 음극 표면의 저항층 피막형성을 억제하고, 전해질에 잘 젖는 한천의 장점 덕분에 리튬이온의 전도성이 증가해 빠른 충전과 방전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포항=이시형기자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