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가계부채 부실 위험성 높다
지역 가계부채 부실 위험성 높다
  • 강선일
  • 승인 2014.02.12 18: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간 대출규모 10조원 늘어…연평균 9% 증가율

4인가족 기준 가구당 4천만원 빚…상당한 이자부담

금리인상 요인 등 리스크 내재…연착륙 대책 시급
작년 말 가계 빚 총액이 1천조원을 넘어서며 우리 경제를 짓누르는 ‘뇌관’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지역 예금취급기관(예금은행+비은행기관)의 가계대출이 주택경기가 되살아나기 시작한 2011년부터 작년까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3년간 연평균 9%대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10조원 가까이 늘어나는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 개인소득 증가율이 연평균 4% 정도에 불과하고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과 함께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역 가계부채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여겨진다.

특히 지역 가계대출 중 금리상승에 민감한 변동금리부 대출이 90%에 육박하고, 2015년 말까지 만기도래하는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40%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나 금리상승시 이자부담 가중은 물론 부실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어 가계부채 연착륙대책 마련 등 선제적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지역 가계부채 증가율 3년간 ‘연평균 9%’= 12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에코스(ECOS)’에 따르면 2010년말 37조9천210억원이던 대구·경북지역 가계대출 규모는 작년 11월 현재 대구 25조7천770억원, 경북 22조610억원 등 47조8천380억원으로 9조9천170억원이나 늘었다.

연도별 증가액을 보면 △2011년 3조1천95억원 △2012년 3조1천680억원 △작년 11월까지 3조6천400억원 늘어나며, 연평균 9% 정도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같은 가계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2011년 이후 되살아난 아파트 등 주택경기에 따라 매매자금 수요가 확대된데다 중도금 납입 등을 위한 대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실제 지역 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은 2010년 말 20조6천억원 수준에서 △2011년 22조5천60억원 △2012년 24조5천900억원 △작년 11월 26조9천60억원으로 3년새 6조3천억원이나 증가하며, 전체 가계대출의 56%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가계대출 증가측면에서 은행권보다 상대적 대출이율이 높은 비은행기관, 즉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점이다. 최근 수년간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 등으로 저금리 기조를 이어가던 대출금리가 올 들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등으로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에 따른 가계대출에 대한 금리 상승 부담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2010년말 20조6천억원에서 작년 11월 현재 24조원으로 3조4천억원 정도가 늘어난데 비해 2금융권은 17조2천억원에서 23조8천억원으로 6조6천억원 정도 증가했다.

▲‘우려되는’ 부채상환능력=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2012년 9월말 기준 지역민 1인당 가계대출 규모는 2011년 802만원에서 2012년 831만원으로 30만원 정도 늘어난 것이 가계대출 급증세에 따라 작년 말에는 920만원 수준으로 3년새 120만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4인가족을 기준으로 할 때 한가구당 4천만원에 육박하는 가계 빚을 떠안으며 상당한 이자 부담에 시달리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지역의 개인소득 증가율(2006∼2010년)은 연평균 4%에 불과하고, 1인당 처분가능소득도 적은데다 단순 노무직 비중이 높은 등 고용의 질이 취약한 점 등을 감안할 때 부채상환능력이 약화될 우려가 크다는 것이 한은 대경본부의 설명이다.

더욱이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중 생계 및 대출상환 등 기타 용도의 대출 비중도 2011년 37.3%에서 2012년 40% 이상으로 증가하며 전국 평균을 계속 웃돌고 있고, 주택담보대출 중 40% 안팎이 2015년말까지 상환도래하는 점과 1억원∼2억원이 넘는 거액 대출 연체율이 서울이나 경기에 인접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점 등은 가계대출의 부실 위험성이 어느정도인지를 가늠케하고 있다.

한은 대경본부는 “지역 가계대출이 단기적 부실화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내수경기 회복 지연, 금리인상 요인 발생 등 여러 리스크요인이 내재해 있는 등 부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가계와 금융기관은 무리한 대출을 자제하고, 대출구조 개선 노력을 병행하는 한편, 지자체에서 우량기업 유치 및 산업기반 확충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자영업자·취약계층 등의 소득여건 개선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강선일기자 ksi@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