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상승 연간 이자액 대구 4천810억원, 경북은 4천550억원
금리 1%상승 연간 이자액 대구 4천810억원, 경북은 4천550억원
  • 강선일
  • 승인 2018.11.30 15: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기준금리 인상, 빚갚고 대출내기 더 힘들어진다

부동산시장 및 소비위축 등 지역 경기침체 가속화 우려

금리 1%상승 연간 이자액 대구 4천810억원, 경북은 4천550억원

대출건전성 악화, 부실대출 가능성 확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0일 기준금리를 연1.50%에서 1.75%로 0.25%포인트 올렸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작년 11월 0.25%포인트에 이은 1년만의 인상이다.

한은 금통위의 이날 기준금리 인상은 생산·소비·투자의 ‘트리플’ 부진에 따른 경제침체 장기화 조짐에도 불구,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인상 기조와 주식시장 외국인 자본이탈 등으로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사상 처음으로 1천500조원을 넘어선 가계빚 수준 등을 감안할 때 불가피할 측면이 작용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구·경북을 비롯 가계빚을 떠안고 있는 대출차주들과 경영난 심화를 겪는 중소기업 등에는 이자부담과 함께 금융권의 대출 리스크관리 강화에 따른 자금난 및 부실대출 가능성을 키우는 요인된다. 또 정부의 부동산규제 정책과 맞물려 금융권의 대출금리까지 올라 지역 부동산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빚갚고 대출내기 더 힘들어져= 한은 금통위가 이날 1년만에 기준금리를 0.25% 올리면서, 금융권의 예금금리나 대출금리는 당분간 오름세를 타게 됐다. 실제 지역 은행인 대구은행의 경우 지난 10월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가 3.73%로 지난 7월 3.80%에서 8월 3.73%, 9월 3.70%의 하락세에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시중은행들 역시 금리가 오름세를 타는 것은 마찬가지다. 시장의 예상대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요인이 선반영됐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할 때 은행권 주담대 금리는 조만간 5%대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따라서 빚을 내 집을 산 대출차주나, 신규로 주택을 매입하려는 실수요자들은 불어난 이자부담으로 집을 되팔거나, 청약 보류 등의 주택구매 의향이 축소돼 호황세를 지속하던 대구·경북지역 부동산시장은 위축이 불가피해지게 됐다.

지역 부동산시장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주담대 등의 금리가 내년에도 상승세를 지속할 경우 대출이자 부담에 따른 매물 증가와 함께 실수요자들의 구매의사 보류 등으로 인해 지역 부동산시장도 당분간 침체를 맞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금리인상이란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당분간 수요자들의 관망세는 있겠지만 집값 하락은 일정수준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은행권 관계자 역시 “금리가 오를 때에는 투자보다 부채관리에 신경쓰는 것이 좋다”면서 “금리인상기에는 단기자금이면 변동금리를 유지하되 3년 이상 장기대출이라면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재테크 전략의 수정을 시도해 볼만하다”고 조언했다.

◇대출 리스크 확대, 내수부진 등 경기침체 가속화 우려= 특히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인해 올 3분기 기준 1천500조원을 넘어선 가계빚 리스크는 더욱 커지게 됐다. 또 이자부담으로 ‘허리띠를 더욱 졸라메게’ 된 서민가계의 소비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여 가뜩이나 침체된 지역경제 상황은 악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같은 ‘경고등’은 한은 대구경북본부에서 발표한 각종 보고서에서도 잘 나타난다.

한은 대경본부가 지난 7월 내놓은 ‘금리상승시 대구·경북지역 가계의 추가 이자부담 수준 및 잠재 리스크’ 보고서를 작년 12월말 현재 대구와 경북지역 가계대출 잔액은 각각 64조원(차주수 82만4천명), 57조원(차주수 83만9천명)에 이른다. 또 2013년부터 작년까지 가계대출 연평균 증가율은 대구가 13.2%로 제주를 제외한 15개 시·도 중 가장 높고, 경북은 11.8%로 전국 평균 8.2%를 웃돌았다.

이같은 지역 가계대출 잔액에 금융권 금리상승분 1%포인트를 적용하면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연간 이자금액은 대구가 4천810억원(차주 1인당 60만원), 경북은 4천550억원(차주 1인당 56만원)으로 추산됐다. 이자부담 증가는 취약차주 등을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부담을 가중시켜 금융권의 대출건전성 악화와 부실대출 가능성을 키운다.

더욱이 대구와 경북은 고위험대출 보유자, 취약차주, 연체차주가 각각 △5만3천명, 5만1천명, 2만4천명 △5만9천명, 5만6천명, 2만7천명에 달하고, 금리상승에 민감한 대출이 총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대구 18.4%, 경북23.7%로 전국 평균을 웃도는 등으로 대출건전성 악화 가능성이 타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지역기업들의 부채규모 역시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한은 대경본부가 지난 8월 발표한 ‘최근 지역 기업부채 동향 및 리스크 평가’에 따르면 지역기업들의 부채규모는 2012년 126조8천억원에서 2016년 196조3천억원으로 연평균 10.7%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기간 우리나라 기업부채 전체 증가율 3.2%(2천217조8천억원→2천502조3천억원)의 3배를 웃도는 수치다.

지역기업들의 부채규모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38.2%를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 부진 △구미의 삼성·LG 등 대기업의 사업장 이전에 따른 지역 주력산업 업황부진 등이 반영된데다 부채의 질 역시 △ 부동산업으로의 편중 심화 △법인기업 대비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개인사업자 부채 증가세 가속화 등으로 인해 채무상환능력의 양극화를 보인 때문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2017년말 기준 지역 부동산기업의 총부채 대비 예금은행 부동산업 대출비율(개인사업자 포함)은 66.7%로, 2011년 29.5%에 비해 37.2%포인트나 상승해 대출건전성 악화 등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는 모습이다.

한은 대경본부는 “비은행기관, 고위험대출 보유자 및 취약차주, 신용대출 등을 중심으로 대출건전성 악화가 우려되고, 중·저신용자에 대한 불합리한 가산금리 인상 등 대출금리에 대한 금융기관의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가 있다”면서 “연체 우려자를 대상으로 원금상환 유예 등 연체발생 사전예방 관련제도의 적절한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당국의 정책홍보 및 지원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선일기자 ksi@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