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채소 등 100% 착즙 원액
마켓컬리, 제품 라인업 확대
마켓컬리, 제품 라인업 확대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 색소와 같은 화학첨가물 없이 과일 채소 등 100% 착즙 원액대로 판매하는 NFC(Not From Concentrate) 주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장보기 앱 마켓컬리는 지난 1월부터 지난달까지 주스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NFC주스 판매량이 전년 동기간보다 57% 늘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일반 주스 판매 증가율(32%)의 1.8배에 달한다.
NFC 주스는 물로 희석하지 않는 만큼 일반 주스 상품보다 생산 비용이 더 들어 제품 가격대가 15~40%가량 높다. 그럼에도 올 초 코로나19 여파 이후부터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 중인 것.
마켓컬리의 월별 판매량을 보면 코로나 19가 본격화된 지난 2월에 NFC주스 판매량이 138% 증가했고, 이른 무더위가 시작된 지난 6월께 73%증가했다.
NFC 주스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 라인업 역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다.
과거에는 오렌지, 자몽, 수박, 당근 등이 대다수였으나, 최근에는 레드비트, 비트루트, 샐러리, 양배추 등 NFC 주스에서 다루는 제품군이 넓어졌다.
이에 따라 마켓컬리에서 판매되고 있는 NFC 주스 상품 수도 지난해 대비 92% 증가했다.
가장 인기 있는 NFC 주스는 오렌지로, 전체 NFC 주스 판매량의 23%를 차지했다. 200㎖부터 1ℓ까지 다양한 용량을 선보이면서 다른 과일에 비해 선택지가 다양한 영향이 큰 것으로 마켓컬리 관계자는 밝혔다.
다음으로 감귤 주스가 많이 판매됐고, 3위에는 수박 주스가 이름을 올렸다.
채소 주스도 지난해 비중이 3%에 그쳤으나 올해 13%로 뛰었다. 레드비트, 비트루트 등 비트 주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마켓컬리는 화학첨가물 없이 원재료만을 착즙한 NFC 주스를 한데 모은 ‘100% 과즙 한 잔, NFC 착즙 주스’ 테마관을 오는 31일까지 진행한다. 또 테마관 상품을 1만5천 원 이상 구매 시 2천 원 할인되는 쿠폰을 함께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아람기자 aram@idaegu.co.kr
장보기 앱 마켓컬리는 지난 1월부터 지난달까지 주스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NFC주스 판매량이 전년 동기간보다 57% 늘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일반 주스 판매 증가율(32%)의 1.8배에 달한다.
NFC 주스는 물로 희석하지 않는 만큼 일반 주스 상품보다 생산 비용이 더 들어 제품 가격대가 15~40%가량 높다. 그럼에도 올 초 코로나19 여파 이후부터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 중인 것.
NFC 주스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 라인업 역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다.
과거에는 오렌지, 자몽, 수박, 당근 등이 대다수였으나, 최근에는 레드비트, 비트루트, 샐러리, 양배추 등 NFC 주스에서 다루는 제품군이 넓어졌다.
이에 따라 마켓컬리에서 판매되고 있는 NFC 주스 상품 수도 지난해 대비 92% 증가했다.
가장 인기 있는 NFC 주스는 오렌지로, 전체 NFC 주스 판매량의 23%를 차지했다. 200㎖부터 1ℓ까지 다양한 용량을 선보이면서 다른 과일에 비해 선택지가 다양한 영향이 큰 것으로 마켓컬리 관계자는 밝혔다.
채소 주스도 지난해 비중이 3%에 그쳤으나 올해 13%로 뛰었다. 레드비트, 비트루트 등 비트 주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마켓컬리는 화학첨가물 없이 원재료만을 착즙한 NFC 주스를 한데 모은 ‘100% 과즙 한 잔, NFC 착즙 주스’ 테마관을 오는 31일까지 진행한다. 또 테마관 상품을 1만5천 원 이상 구매 시 2천 원 할인되는 쿠폰을 함께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아람기자 aram@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