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광전지·적외선 감지 등 적용

25일 포스텍에 따르면 노 교수와 석박사통합과정 노재범 씨 연구팀은 AI 활용 범위를 넓혀 빛의 모든 성질을 무시하는 인공적 물질인 ‘메타물질’을 설계했다.
메타물질로 만든 메타 안테나는 일반 안테나에 비해 특이한 반사·투과 성능을 지닌다.
그러나 메타 안테나를 설계하기 위해서 설계자 직관에 의존해야 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이에 연구에서 AI는 간단히 메타 안테나의 단위 셀 구조를 찾아냈고 연구팀은 라디오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구조체 설계 방식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또 노 교수는 석박사통합과정 소순애 씨 연구팀과 열광전지, 적외선 감지·이미징·가열 등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열 방사체 설계에 AI를 활용했다.
AI가 설계한 열 방사체 평균 제곱 오차는 0.006 미만이었고 방사체 품질을 의미하는 Q 계수도 최대 109.2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열 방사체는 입사 편광과 상관없이 작동하며 넓은 입사 각도까지 우수한 성질을 유지했다.
두 논문은 세계적인 광학 분야 학술지인 ‘옵티컬 머터리얼스 익스프레스’에 각각 발표됐다.
포항=이상호기자 ish@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