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공자 심사는 국가보훈처가 전담한다. 4·19 당시 대학생이었던 많은 학생들이 여러 가지 공적서류를 꾸려 포상신청을 냈지만 보훈 규정에 맞지 않는다고 퇴짜를 맞고 지금까지 보류된 사람이 1천여 명에 이른다고 알려졌다.
나는 오늘 이 칼럼을 통해서 4·19혁명 당시 앞장섰던 두 사람의 얘기를 해보려 한다.
중앙대학교 58학번 김정일(강릉시 명예시민증서 제10호 1999년 62일)과 국민대학교 57학번 원인호가 그 주인공이다.
김정일은 정보통신부 홍보담당관을 역임한 고위공무원 출신이고 원인호는 한국발명가협회 회장이다. 중앙대는 6명의 학생이 총탄의 희생자가 된 가장 많은 4·19사망자를 배출한 학교다. 서울대도 6명이지만 학생비율로 따지면 중앙대가 단연 앞선다. 김정일(현재 중앙대학교 4·19혁명기념사업회 회장)의 경우 1996년 강릉우체국장으로 부임 그 다음해 보훈의 달에 강릉동부보훈처(청장 정계웅 현재 행정사사무소 임광 자문위원)에서 추천하면서 공적조서는 4·19혁명 영령들이 잠들고 있는 서울 수유동에 소재하는 4·19 국립민주묘지소 (소장: 선춘배) 행정주사보 박점동 씨가 조사, 직접 작성하였다 그의 4·19혁명 당시 김씨의 활약상을 적나라하게 표현해준다. 공적사항 1항을 그대로 옮겨보자.
“ 1. 1960년 4월 19일 당시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3학년으로 재학 중 남다른 의협심과 민주화 투쟁의욕으로 4·19혁명 가두시위에 적극 가담하였는바, 2백65명의 희생자 가운데 최후의 저항세력인 중앙대학교 학생 중에서도 가장 맹렬하게 독재 탄압정치에 항거하여 동문인 서현무(당시 중앙대 법대2년)와 함께 대열 선두에서 민주화투쟁에 참여하여 독재정치를 함몰시킨 산 역사의 증인으로서 민주화의 일익을 담당한 경력이 있으며…”다.
위를 근거로 하여 그는 서현무와 김태년의 영혼결혼과 그들의 비문에 오류가 있는 것을 바로 잡고 합장하도록 하였다. 그 공로로 김영삼 문민정부 들어서 4·19의거가 아닌 4·19혁명 관련 유공자로 국가에서 최초로 1997년 박상범 보훈처장의 표창장을 수여했다.
이때 주요 언론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조명을 받아 지방지에까지 기사화 되었다.
이 사실을 23년이 지난 후 언론인 출신 방형남 소장이 2020년 4월 19일 국가보훈처에서 4·19혁명영령 관련 최초로 발행한 ‘4·19혁명 60주년 민주열사들을 만나다(편자 소장 방형남)’에 소개됐다. 이 책은 4·19혁명 당시 산화한 영령들의 이야기를 엮었는데, 생존자로는 유일하게 중앙대학 4·19혁명 주도한 김정일씨가 2쪽(42~43)에 소개되어 망자(영령)와 산자와 함께 동행하는 인물이 되었다.
국민대학교 원인호는 4·19 당일 경무대 근처에서 경찰의 총탄에 왼쪽 발에 부상을 입고 정신을 잃었다. 이틀 후 깨어났을 때에는 왼쪽발의 무릎 아래가 절단된 상태였다. 절망에 빠진 그는 시골로 도피하여 세상과 인연을 끊었다. 그는 “이대로 죽을 수는 없다”는 결심으로 발명에 열중하여 수백 건의 특허를 획득했으며 이 사실을 안 국민대에서는 명예졸업장을 받았다. 이 사실은 도하신문에 대서특필 되었다. 원인호는 장애에도 불구하고 세계를 누비며 외국 발명단체와 유대를 강화하며 한국의 발명현황을 선양하고 있다. 김정일과 원인호처럼 숨어서 일하는 4·19공로자를 발굴하는 것이 국가보훈처의 의무 아닐까? 오는 4·19혁명 62주기 때, 얼마 남지 않은 문재인 정부가 그냥 물러설지, 4·19혁명동지들은 물론 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