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아침] 까치집
[달구벌아침] 까치집
  • 승인 2022.04.10 20: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현숙 시인
딸내미 집으로 가는 길, 눈발 휘날리듯 벚꽃이 바람에 흩날린다. 우후죽순처럼 새순 돋아나는 아파트 숲을 지난다. 들마을을 건너 비산 염색공단으로 들어서니 플라타너스 가로수가 도열해 있다.

크레인의 굉음이 도로를 점령한 채 지나는 사람들의 고막을 홀린다. 나뭇가지들이 전기 톱날에 무차별하게 싹둑싹둑 잘려 나간다. 느닷없이 날아든 재개발 소식이라도 있었던 것일까. 나무 위에 터를 잡고 살던 까치집들이 바닥으로 내동댕이쳐진다. 오랜 터전이 길바닥으로 주저앉고 있다. 허물어진 집주변을 기웃대며 뱅뱅 돌고 있는 그들의 모습이 애잔하다. 언젠가 이런 날이 오리라 생각은 하고 있었을까. 오랜 시간 그곳에 깃들어 살았을 그들의 처지가 마치 남의 일 같지 않아 보여 마음이 쓰인다.

그들 앞에 놓인 지금의 시련이 꽃바람에 실려 훨훨 날아가기를 바라며 발걸음을 재촉한다. 곧 여름이 오고 잘린 플라타너스 가지엔 푸른 잎사귀들이 돋아나 무성해질 것이다. 그때 다시 푸르른 그늘, 새집을 지어 안주하기를 소망하며 무태교로 접어든다. 무태교는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연암로의 교량으로 과거에는 무태(동변동, 서변동, 연경동)와 대구 본시가지를 잇는 유일한 다리였다. 왕복 2차선, 편도 1차로의 매우 좁은 다리로 운행 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주의해야 한다. 가끔, 고라니가 나올 때도 있으니 말이다.

집으로 가는 길이 여러 갈래가 있지만 나는 굳이 이 길을 택한다. 한 번 막히기 시작하면 우회할 수 있는 길이 없어 꼼짝없이 갇히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대로에선 볼 수 없는 다양한 풍경을 접할 수 있고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어 좋다. 딸내미 집으로 가는 지름길이면서 삶의 지름길이 되기도 한다.

무태교를 지날 때면 어둡던 마당이 환해지듯 내 맘엔 점점 생기가 충전된다. 축구장 지나 파크골프장을 따라가다 보면 분리수거가 한참인 재활용센터가 나온다. 쓰레기더미에 눌린 담장 아래 역세권, 조망권, 일조권이 압권이라며 마감 임박 앞세워 바람 잡던 온갖 플래카드들이 쓰레기더미 속에 끼여 일그러진 채 펄럭인다.

플래카드가 가리키는 바람결 따라 늘어선 나무마다 벚꽃이 활짝 피어있다. 그 속에 까치집들이 강변을 내려다보며 즐비해 있다. 조금 전, 지나온 플라타너스 위에 지어진 집들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겨우내 지나다닐 때만 해도 엉성하게 속이 다 드러난 모습이 애처롭게 보이더니 봄이 되어 벚꽃으로 도배를 한 것이다. 언제 그랬냐는 듯이 요 며칠 새, 신혼집처럼 이내 화사해졌다. 둥지 속 새끼라도 낳았는지, 두 마리의 까치가 연신 강과 집을 오가며 먹이를 물어 나르고 있다. 때론 그 집 아래 차를 세운 채 한참을 멍하니 지켜보며 서 있기도 하다. 그렇게 한참을 바라보며 서 있다 보면 까치둥지 속, 딸내미의 얼굴이 환하게 겹쳐지며 따라 흐른다. 새순처럼 이제 막 세상에 나온 지 육 개월이 된 아기와 함께.

시집가기 전, 딸내미가 행복한 집에 대해 내게 하던 말이 생각난다.

“엄마가 집에 있다는 느낌은 말이야 엄마. 어떤 거냐면 뭐랄까. 길을 가다가 오백 원짜리 동전 하나를 주운 느낌 뭐 그런….”

내가 시큰둥하게 다시 물었다.

“에이 딸아 섭섭하다. 겨우 오백 원짜리 동전을 줍는 느낌이라고? 신사임당 정도는 돼야지. 금액 좀 올려주면 안 될까?”

“뭘 모르시네! 울 엄마. 사실 난 서른이 넘도록 십 원짜리 한 번 주워본 적 없거든. 그런 내가 오백 원짜리 동전을 줍는다는 건 기적에 가까운 어마무시한 일이지. 더군다나 오백 원은 동전 중 최고 높은 거야 엄마”

딸내미의 대답을 들으며 참 좋은 소재라며 글로 한 번 써볼까 했더니 “근데 엄마. 공감 못할걸. 왜냐면 암만 생각해도 나만큼 엄마를 좋아하는 딸이 흔치 않을 것 같거든. 엄마가 집에 있으면 오히려 더 불편하다는 친구도 있으니 말이지” 한다.

돌아갈 집이 있다는 건 행운이다. 언제든 돌아가면 반겨 맞아주는 이가 있다는 건 더 큰 행운이다. 천년나무 아래 차를 세우고 엄마 품을 떠나 세상에 세 들어 사는 딸내미의 둥지 속으로 들어선다. 익숙한 딸의 어깨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