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아침] 운전과 소통
[달구벌아침] 운전과 소통
  • 승인 2022.05.25 21: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순호 BDC심리연구소 소장
국토교통부에 배포한 보도자료(2022년 1월 28일)에 의하면 2021년 말 기준 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는 자동차 대수는 2,491만대라고 한다. 대한민국 국민이 5,100만 명 정도이니 2명이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는 말이다. 대한민국 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자동차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사람도 자동차 수만큼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상상을 잠시 해본다.

본인이 어렸을 때만해도 자동차는 관공서에서 운행하는 자가용, 혹은 대중교통 버스, 택시 등이 전부였다. 간혹 개인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긴 있었는데 그 경우는 아주 특이한 경우였고, 굳이 가정형편을 확인하지 않아도 자가용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이 엄청난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척도가 바로 자동차였다. 요즘은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운전면허를 취득한다. 그만큼 운전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말이다. 자동차도 많아지고 운전하는 사람도 많아지면서 덩달아 운전자 간의 갈등도 많아졌다.

운전을 하다 보면 깨닫는 것이 참 많다. 그중 사람들이 서로 대화를 하듯, 차들 역시 서로 대화를 하며 도로 위를 달린다는 사실이다. 마치 그것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주고 받고, 정보를 나누며, 거래를 하는 행위와 같다. 사람이 말(언어)을 통해서 대화를 한다면 차들은 도로 위에서 몸짓(차들의 움직임)을 통해 서로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무언(無言)의 행동은 서로를 오해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대화할 때 서로의 뜻을 잘 전달하지 못하면 오해와 갈등이 발생하듯, 운전 상황에도 서로의 오해가 생기고 나아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갈등을 빨리 풀지 못하면 큰 충돌로 이어지게 된다. 국토교통부에 배포한 보도자료(2022년 1월 28일)에 의하면 2021년 말 기준 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는 자동차 대수는 2,491만대라고 한다. 대한민국 국민이 5,100만 명 정도이니 2명이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는 말이다. 대한민국 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자동차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사람도 자동차 수만큼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상상을 잠시 해본다.
본인이 어렸을 때만 해도 자동차는 관공서에서 운행하는 자가용, 혹은 대중교통 버스, 택시 등이 전부였다. 간혹 개인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긴 있었는데 그 경우는 아주 특이한 경우였고, 굳이 가정형편을 확인하지 않아도 자가용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이 엄청난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척도가 바로 자동차였다. 요즘은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운전면허를 취득한다. 그만큼 운전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말이다. 자동차도 많아지고 운전하는 사람도 많아지면서 덩달아 운전자 간의 갈등도 많아졌다.
운전을 하다 보면 깨닫는 것이 참 많다. 그중 사람들이 서로 대화를 하듯, 차들 역시 서로 대화를 하며 도로 위를 달린다는 사실이다. 마치 그것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주고받고, 정보를 나누며, 거래를 하는 행위와 같다. 사람이 말(언어)을 통해서 대화를 한다면 차들은 도로 위에서 몸짓(차들의 움직임)을 통해 서로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무언(無言)의 행동은 서로를 오해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대화할 때 서로의 뜻을 잘 전달하지 못하면 오해와 갈등이 발생하듯, 운전 상황에도 서로의 오해가 생기고 나아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갈등을 빨리 풀지 못하면 큰 충돌로 이어지게 된다.
사실, 말(言語)을 통해서 서로의 의사를 전해도 전달 과정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는가에 따라 오해가 생기는데 하물며 운전은 말이 아닌 무언(無言)의 몸짓으로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오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운전을 통해 소통을 배워보자.
먼저 상대의 의도를 잘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좁은 골목에서 반대편 상대방이 오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멈춰서 기다려 주려는 건지 잘 잘 읽어 낼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다툼 없이 그 상황을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다. 하지만 그걸 읽어내지 못하면 답답한 상황이 발생한다. 서로 기다리고 있거나 아니면 서로 진입하여 오도 가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상황은 고속도로에서 3차선에서 2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할 때 조심을 해야 한다. 2차선에서 달려오는 차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1차선에서 2차선으로 들어오는 차를 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2차선 하나를 두고 3차선에서 1차선에서 동시에 들어오게 되면서 발생하는 사고가 많다. 대화에 적용해보면 내 말을 전하고자 하는 그 한 사람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옆에서 듣고 있는 3자도 참 중요한 사람이란 걸 잊어서는 안 된다. 그 사람 역시 같이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이다.
두 번째, 흐름을 잘 타야 한다. 고속도로에서는 늦게 달리는 것이 사실 더 위험하다. 모두가 100km로 달리고 있는데 자기 혼자 떡 하니 70km로 1차선을 달리고 있으면 사고 위험이 정말 높아진다. 고속도로에서 한 번씩 그런 사람들 보면 참 소통 못하는 사람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운전은 흐름이다. 달려줄 때는 함께 달려줘야 하고, 천천히 가야 하는 곳에는 천천히 달릴 줄 알아야 한다. 대화도 흐름이다. 한창 분위기 좋은데 맥을 탁 끊는 사람이 있다. 대화에 찬물을 끼얹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다.
세 번째,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막다른 골목에 만났을 때 경쟁보다 먼저 양보를 해주면 편히 그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잠시 잠깐이다. 골목에서 차 두 대가 서로 빵빵 거리며 대치하다가 결국 싸움으로 번지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 목숨 걸 일이 없어서 스쳐 지나갈 인연과 목숨을 건다는 것은 참 한심한 일이다. 대화도 마찬가지다. 대화를 잘하는 사람은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실 잘 듣는 사람이다.
운전을 문제없이 잘하는 사람은 가만히 보면 대화도 잘하는 것 같다. 상대의 의도를 잘 읽어내고, 대화의 흐름을 잘 읽어 대화의 흐름을 끊지 말고, 잘 들어주면서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말이다.
사실, 말(言語)을 통해서 서로의 의사를 전해도 전달 과정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는가에 따라 오해가 생기는데 하물며 운전은 말이 아닌 무언(無言)의 몸짓으로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오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운전을 통해 소통을 배워보자.

먼저 상대의 의도를 잘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좁은 골목에서 반대편 상대방이 오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멈춰서 기다려 주려는 건지 잘 잘 읽어 낼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다툼 없이 그 상황을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다. 하지만 그걸 읽어내지 못하면 답답한 상황이 발생한다. 서로 기다리고 있거나 아니면 서로 진입하여 오도 가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흐름을 잘 타야 한다. 고속도로에서는 늦게 달리는 것이 사실 더 위험하다. 모두가 100km로 달리고 있는데 자기 혼자 떡 하니 70km로 1차선을 달리고 있으면 사고 위험이 정말 높아진다. 고속도로에서 한 번씩 그런 사람들 보면 참 소통 못하는 사람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운전은 흐름이다. 달려줄 때는 함께 달려줘야 하고, 천천히 가야 하는 곳에는 천천히 달릴 줄 알아야 한다. 대화도 흐름이다. 한창 분위기 좋은데 맥을 탁 끊는 사람이 있다. 대화에 찬물을 끼얹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다.

세 번째,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막다른 골목에 만났을 때 경쟁보다 먼저 양보를 해주면 편히 그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잠시 잠깐이다. 골목에서 차 두 대가 서로 빵빵 거리며 대치하다가 결국 싸움으로 번지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 목숨 걸 일이 없어서 스쳐 지나갈 인연과 목숨을 건다는 것은 참 한심한 일이다. 대화도 마찬가지다. 대화를 잘하는 사람은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실 잘 듣는 사람이다.

운전을 문제없이 잘하는 사람은 가만히 보면 대화도 잘하는 것 같다. 상대의 의도를 잘 읽어내고, 대화의 흐름을 잘 읽어 대화의 흐름을 끊지 말고, 잘 들어주면서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말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