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사치’ 통해 만족감
‘작은 사치’ 통해 만족감
  • 강나리
  • 승인 2023.01.25 21: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몰 럭셔리’ 새 트렌드로
저렴하지만 고급스런 상품 구매
1만원 대 레스토랑 간편식 인기
캐비아, 다양한 RMR 제품 선봬
2~3만원 대 주류시장도 급성장
고물가 흐름과 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작은 사치로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 ‘스몰 럭셔리’가 유통가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스몰 럭셔리 품목인 향수, 립스틱 등 사치품·기호품을 넘어, 최근에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맛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식품, 주류 등 먹거리로 트렌드가 빠르게 확장하는 분위기다.

현대판 립스틱 효과로 불리는 스몰 럭셔리는 불황기에 자동차나 의류 등 고가의 명품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지만 고급스러운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 성향을 뜻한다. 실제 현대백화점의 지난해 12월 니치향수와 색조 화장품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47.1%, 31.1% 증가하는 등 국내 백화점 빅3의 향수, 립스틱 매출 모두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런 스몰 럭셔리 트렌드가 식품을 중심으로 한 생활밀착형 소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고급 레스토랑 분위기를 낼 수 있는 레스토랑 간편식(RMR), 프리미엄 과일, 고가의 주류 등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근사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스몰 럭셔리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미식 큐레이션 플랫폼 캐비아(KAVIAR)에 따르면, 지난해 RMR 제품 매출은 전년 대비 68% 증가했다. RMR의 경우 저렴한 가정간편식(HMR)과 달리 주로 1만 원 이상의 가격대지만, 현장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예약하는 등 번거로움 없이 고급 레스토랑의 분위기와 맛을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즐길 수 있어 인기가 있다.

캐비아는 미쉐린 가이드에 선정된 유명 레스토랑부터 40년 전통의 노포 등 150개 이상의 폭넓은 푸드 IP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RMR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정통 스테이크하우스 ‘붓처스컷’과 신선한 해산물을 선보이는 ‘바이킹스워프’가 협업해 제작한 ‘랍스테이크’와 통의동 유명 고깃집 ‘국빈관’의 양념소갈비 등을 활용하면 3~4만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에 고급스러운 한상차림을 마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쉐린 레스토랑 레스쁘아 뒤 이부의 ‘어니언스프’ △유명 파티시에 유민주 셰프가 운영하는 글래머러스펭귄의 ‘당근케이크’ △을지로 핫플 ‘금토일샴페인빠’를 운영하는 한충희 셰프와 협업해 선보인 ‘Go to the SKY 피칸파이’ 등 다양한 프리미엄 디저트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색 품종 프리미엄 과일도 인기 있는 스몰 럭셔리 상품 중 하나로 꼽힌다. 기존의 전통적인 과일에 비해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품목의 경우 완판 행진을 이어갈 정도로 인기가 높다.

최근 이마트는 호주산 ‘칼립소 망고’를 선보였다. 칼립소 망고는 씨가 작고 껍질이 얇아 먹을 수 있는 부위가 많고, 높은 당도와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일반 블루베리 대비 4㎜ 이상 더 큰 프리미엄 블루베리 ‘유레카’를 비롯해 높은 당도와 특이한 색깔의 ‘레드키위’, 킹스베리, 만년설 딸기 등 새로운 품종의 프리미엄 과일들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

스몰 럭셔리 트렌드에 따라 와인, 위스키 등 고가의 주류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CU의 지난해 양주 매출은 전년 대비 48.5%, 와인은 19.6% 늘었다. 같은 기간 GS25의 위스키, 와인 매출도 각각 65.6%, 73.2% 증가했다. 2~3만원대의 가성비 제품으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해 가격 대비 소비자의 만족도가 큰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에선 와인과 위스키 등을 전면으로 내세운 매장 리뉴얼에 나섰으며, 편의점 업계에서도 주류 전담 조직 신설 및 개편을 통해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주류 특화 편의점 등 사업을 다각도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 속 가계 부담이 커지면서 값비싼 명품 구매보다 레스토랑 간편식 등 작은 사치로 만족감을 얻는 스몰 럭셔리 트렌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면서 “경기 불황의 장기화가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도 가성비를 넘어 가심비까지 공략할 수 있는 스몰 럭셔리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