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 고물가, 세금 인상 등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국민들이 많다. 경제적 어려움은 그대로 청년세대로 이어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악화와 물가상승, 세금인상 등 국가의 경제적 악화 상황이 이어지면 당연히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들에게 경영 악화가 찾아온다. 이런 상황들이 지속이 되면 정착 우리 청년들은 아르바이트나 취업시장에서 어려움은 당연한 것이다. 이미 지난 정부에서 최저 임금 상승으로 인해 수많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인재채용 계획을 중단하였고, 금년도 최저 임금이 지난해 보다 5.0%(460원) 상승한 시간당 9,620원으로 올랐다. 이미 지난 5년간 최저임금 상승과 코로나로 인해서 국가 전체의 고용악화, 취업절벽이라는 신종어까지 나온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정부부처에서는 다양한 청년정책과 일자리 정책들을 제시하고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등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중앙정부의 청년정책과 일자리 정책들은 정작 현실에 체감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예를 들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상으로 청년 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인건비 지원사업으로 1인당 80만원~최대 180만원까지 지원을 해주고 있다. 인건비 지원사업을 받은 기업들은 고금리, 고물가, 세금 인상 요인 등을 고려하여서 신규 청년인력을 채용한다면 인건비 지원사업과 기존 회사에서 지급해야되는 급여를 합하여서 250만원~300만원 정도 까지 지급하기를 기대하였지만 정작 현실은 인건비 지원사업을 받고 회사 부담금해서 최저급여(200만원선) 지급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민취업지원제도 등의 정책도 문제점이 들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정부에서 시행하는 청년정책을 위탁기업에서 운영하다보니 실적/성과를 만들기 위해서 비전문가(경험과 경력이 부족한 직업상담사 등)들을 고용하여서 청년들에게 올바른 방향성 제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다는 청년들의 목소리도 있다. 청년 정책은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된다는 것이다. 조국의 미래인 청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아무리 좋은 청년 정책들도 청년들의 현실에 맞지 않다면 무용지물인 것이다.
청년의 목소리를 반영한 청년 정책을 만들고 서울이나 수도권과 지방의 청년들에게 공통된 청년정책이 아니라 지방 분권화를 강조하는 청년정책을 제시한 호남 출신의 국민의 힘 청년최고위원 김가람 후보가 주목 받고 있다. 그는 호남/광주 출신으로써 민주화의 성지인 지역에서 기최 의회와 광역의회 내 민주주의에 회의감을 가졌고, 충분히 광주 안에서도 영호남과 교류를 통해서 산업화와 경제화를 이루고자 하는 욕구가 있었다고 한다. 이에 김가람 청년최고위원 후보는 (사)한국청년회의소 제67대 중앙회장으로 전국 13,000여명의 회원들과 330개 전국 지방 청년회의소를 대상으로 청년 회원들의 애환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왕성한 활동을 통해서 청년들의 개인적, 사업적 역량개발에 힘써왔다. 또한, 한국의 청년들이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청년 중심의 국제적 활동까지 했다는 것이다. 특히나, 김가람 후보는 유능한 청년세대들이 기성세대들과의 소통과 화합을 만들어 나가 지역균형 발전과 대한민국 발전에 청년이 중심 되어야 한다. 청년들이 만들어가는 청년 정책, 일자리 정책으로 청년들이 행복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오늘도 응원한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