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에 훈풍이 불고 있다는 낭보다. 최근 구미시에 대기업의 투자가 잇따라 구미경제 회생의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다. 올해 지역경제는 첩첩산중이다. 지표와 체감도 모두 꽁꽁 얼어붙어 당분간 지역경제가 침체의 터널속에 갇힐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2일 구미에서 개최된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는 상전벽해의 용틀임으로 보인다.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이 의장을 맡고 교육·산업·과학기술 등 관계부처 장관과 전문가들이 참여한 인재양성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항공·우주·미래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 디지털, 환경·에너지 등 5개 분야를 인재 양성이 시급한 중요 첨단분야로 선정했다. 이날 회의가 고급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을 지시한 경북 구미 금오공대에서 열린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철우 경북지사와 반도체소재전문 기업인 SK실트론과 체결한 협약식에서 SK실트론의 투자 청사진이 드러났다. 오는 2026년까지 구미 국가산업 3단지 4만2천716㎡(약 1만3천평) 부지에 5조5천억원의 투자를 통해 반도체 연구인력 150명과 생산인력 850명 등 총 1천명의 전문인력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SK실트론의 투자 약속에 경북도는 ‘맞춤형 인재양성팀’ 가동으로 화답했다. 앞으로 전문대졸 수준의 대규모 인력 양성 등을 통해 도는 소멸 위기 극복과 지역 내 청년 영구 정착 등을 해결할 복안이다. 이에 발맞춘 주거·보육 등 전·후방에서의 지원 방안도 마련된다. 구미 경제에 봄이 무르익으면 이웃한 대구에도 파급효과가 미치게 된다. 대구의 주도면밀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한편 인재양성 전략회의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 계획은 구체적으로 각 지자체가 지역 발전 계획과 대학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해 지역 대학 지원 계획을 수립해 오면 교육부가 해당 지자체와 협약을 맺어 예산을 지원한다. 지자체 지원을 받은 대학이 지역 발전의 허브 역할을 하고, ‘지역 인재 양성-지역 내 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정부의 복안이다. 하지만 지방대의 위기가 심화된 상황에서 정부가 부실 운영 대학을 지역에 떠넘기려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도 없지 않다.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이 의장을 맡고 교육·산업·과학기술 등 관계부처 장관과 전문가들이 참여한 인재양성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항공·우주·미래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 디지털, 환경·에너지 등 5개 분야를 인재 양성이 시급한 중요 첨단분야로 선정했다. 이날 회의가 고급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을 지시한 경북 구미 금오공대에서 열린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철우 경북지사와 반도체소재전문 기업인 SK실트론과 체결한 협약식에서 SK실트론의 투자 청사진이 드러났다. 오는 2026년까지 구미 국가산업 3단지 4만2천716㎡(약 1만3천평) 부지에 5조5천억원의 투자를 통해 반도체 연구인력 150명과 생산인력 850명 등 총 1천명의 전문인력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SK실트론의 투자 약속에 경북도는 ‘맞춤형 인재양성팀’ 가동으로 화답했다. 앞으로 전문대졸 수준의 대규모 인력 양성 등을 통해 도는 소멸 위기 극복과 지역 내 청년 영구 정착 등을 해결할 복안이다. 이에 발맞춘 주거·보육 등 전·후방에서의 지원 방안도 마련된다. 구미 경제에 봄이 무르익으면 이웃한 대구에도 파급효과가 미치게 된다. 대구의 주도면밀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한편 인재양성 전략회의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 계획은 구체적으로 각 지자체가 지역 발전 계획과 대학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해 지역 대학 지원 계획을 수립해 오면 교육부가 해당 지자체와 협약을 맺어 예산을 지원한다. 지자체 지원을 받은 대학이 지역 발전의 허브 역할을 하고, ‘지역 인재 양성-지역 내 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정부의 복안이다. 하지만 지방대의 위기가 심화된 상황에서 정부가 부실 운영 대학을 지역에 떠넘기려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도 없지 않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