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0명…단일 파견 최대 규모
잔해 매몰된 실종자 찾기 주력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보내기로

정부는 7일 강진으로 대규모 인명피해를 본 튀르키예에 총 110여 명 규모의 대한민국 긴급구호대(KDRT) 파견을 결정했다.
정부는 이날 박진 외교부 장관 주재로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민관합동 해외긴급구호협의회를 개최하고 이런 방안을 공식 의결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외교부, 소방청, 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 등으로 구성된 60여 명 규모의 긴급구호대 파견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국방부 쪽에서도 구호 가능 인원을 추가로 보내기로 해서 50명이 긴급구호대에 추가 합류할 예정”이라며 “총 인원은 110명이 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2013년 필리핀 태풍 피해, 2015년 네팔 강진, 2018년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등에 대한민국 긴급구호대를 파견한 바 있다.
튀르키예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유럽 국가 등의 파견 규모가 60∼80명선인 것과 비교해도 많은 수준이다.
한국의 긴급구호대는 튀르키예 측 요청에 따라 탐색구조팀 중심으로 꾸려진다. 국방부 측 파견 인원도 “수색구조가 가능한 요원들과 의무요원들이 투입될 것이라고 들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전했다.
이에 국방부는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인원 50명가량을 KC-330 다목적 수송기에 태워 튀르키예 현지로 파견해 수색·구조와 의무요원 임무를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잔해에 매몰된 실종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수색구조 중심의 인력을 꾸릴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밤에는 외교부, 119특수구조대, 코이카 등 3명으로 구성된 사전조사단이 튀르키예 현지로 급파됐다.
정부는 전날 튀르키예 정부로부터 구조대 파견 공식요청을 접수했으며, 박진 장관이 이날 오전 살리 무랏 타메르 주한 튀르키예 대사와 전화 통화를 하고 적극적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한국 긴급구호대 전원은 군의 KC-330 다목적 수송기편으로 현지로 이동한다는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앞서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군 수송기를 이용한 구조인력 파견을 지시했다.
정부는 가능한 한 빨리 구호대를 파견한다는 방침이지만 군 수송기 출발 준비, 영공통과 협조를 위한 협의, 수송기 착륙 관련 터키 당국과의 행정적 협의 등에 시간이 걸려 아직 출발 시점은 유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준기자 cjcj@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