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대통령 독도방문’ 제안
국회 독도영토수호대책특위는 25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관련, 중`일과 중`러 영토분쟁을 적극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위 소속 의원들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내년 3월 일본에서 독도 영유권 주장을 담은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발표 등 역사 왜곡이 심각한 한일간 갈등요인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대해 그들이 주장하고 있는 논리가 우리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우리 정부가 확실히 인지하고도 ‘조용하고 신중한 대응’을 이유로 독도를 수면 아래로 끌어내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최근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러일간 갈등 지역인 쿠릴열도(일본명 북방열도)방문과 관련, “이명박 대통령도 독도를 공식 방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구글과 야후 등 인터넷 지도서비스에 독도가 일본식의 ‘죽도’로 표기되어 있거나 ‘리앙쿠르트암’으로 표기되어있는데도 왜 우리 정부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느냐”며“IT강국이라는 대한민국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독도 홍보와 정보 시정이 무시되고 있어 매우 유감스럽다”고 질타했다.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도 "일본은 우리뿐 아니라 중국, 일본과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데 한중러 3국 국민들의 감정은 똑같을 것이고, 이를 네트워크해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철우 의원(경북 김천)은 "관광객들이 독도를 많이 찾을 수 있도록 독도 모형의 홍보관을 건립하고 박물관과 자연전시관도 만들어야 한다"면서 "공무원들이 독도 현장을 방문하는 기회도 많이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무소속 정수성 의원(경북 경주)은 "독일이 2차 대전에서 패전한 뒤 프랑스와 폴란드와 공동으로 역사교과서를 만든 바 있다"면서 "역사인식에 대한 올바른 정립을 위해 한중일 3국간 역사교과서 공동 제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희망연대 김을동 의원은 "안중근 의사 연극을 하는데 일본 여성들이 현해탄을 건너 많이 찾고 있다. 이것이 문화의 효과"라며 "청소년에게 독도를 홍보하는 데에도 청소년 취향에 맞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