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28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제 39기 주주총회를 열고 △2022년 재무제표 승인 △사외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등의 안건을 승인했다.
2022년 연결 재무제표는 전년 대비 각각 3.3%, 16.2% 성장한 연간 매출 17조 3천 50억원, 영업이익 1조 6천 121억원으로 승인됐다. 주당 배당금은 연간 3천 320원으로 확정됐다. 분할 전인 2020년 대비 66% 상향된 수준이다.
SKT는 AI 전문가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를 사외이사와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하고 김준모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부교수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하며 이사회에도 AI 역량을 강화해 AI 컴퍼니 도약에 힘을 싣는다.
SKT는 경영진과 주주의 이해 일치를 바탕으로 경영진의 책임경영 강화 및 중장기 관점에서의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경영진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는 안건도 승인했다.
유영상 SKT 사장은 “2022년은 SKT 2.0 출범과 함께 제시한 5대 사업군을 성장궤도에 안착시키고 AI 컴퍼니 진화를 선제적으로 준비한 한 해”였다며 “올해는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본격화 하겠다”고 밝혔다.
유영상 사장은 SKT 2.0 시대 출범과 함께 제시해 성장 궤도에 안착한 △유무선 통신 △미디어 △Enterprise △AIVERSE △Connected Intelligence 등 5대 사업군의 견고한 성장을 지속함과 동시에 AI 컴퍼니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Core Biz.의 AI 혁신 △AI 서비스로 고객 관계 강화 △산업 전반으로 AI를 확산하는 AIX 등 3대 핵심 전략 축을 제시했다.
SKT는 지난해 AI를 활용한 ESG 활동에서 성과를 거뒀다. 일회용 플라스틱 남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피해빗’은 2021년 7월부터 현재까지 서울, 제주 등에서 745만개의 일회용 플라스틱컵 사용을 줄였다. 또한 SKT의 AI 기술은 독거노인 5만 가구를 돌보고 있으며 450명 이상을 응급 구조하는데 이바지했고, 작년 한 해에만 400만 건 이상의 스미싱을 차단해 피해를 예방했다.
김종현기자 oplm@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