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류 유래 천연 탄수화물
인체 무해한 가시광선 활용
해상도·적층 능력까지 향상
인체 무해한 가시광선 활용
해상도·적층 능력까지 향상

3D 바이오프린팅은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인공장기나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로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분야에서 잠재력이 풍부하다.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배양육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어 푸드테크 분야에서도 주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바이오잉크는 내부에서 세포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세포 생존율이 낮고 인쇄 해상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해조류 탄수화물의 일종인 알지네이트의 광가교를 통해 아주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 젤을 만들었다.
이 광가교 알지네이트 마이크로 젤을 이용해 세포의 자유로운 이동과 증식이 가능한 3D 바이오프린팅용 잉크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잉크를 사용해 3D 바이오프린팅을 진행한 결과 마이크로 젤 기반 소재의 빈 공간에 세포를 탑재한 바이오잉크는 기존 바이오잉크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4배 이상 크게 향상됐다.
또 마이크로 젤은 일정 시간 힘을 줬을 때 오히려 점도가 낮아지고 형태가 변형된 후 원래 형태로 다시 돌아올 수 있어 프린팅 결과물의 해상도와 적층 능력을 높여줬다.
차형준 교수는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개선·기술 고도화를 이루면 실제 인공장기와 배양육 제작 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머’에 최근 게재됐다.
이상호기자 ish@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