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출산통보제에 이어 지난 25일 보호출산제(위기 임신 및 보호 출산지원과 아동보호에 관한 특별법)가 잇따라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출생미신고 아동에 대한 대책 마련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기초단체 차원의 영유아 보호와 위기 임산부를 위한 공공지원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구 수성구의회 사회복지위원회 백지은(사진)의원은 제257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을 통해 지역구 차원의 선제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백지은 구의원은 지역 내 있는 위기임신지원센터에 대한 맞춤형 공공지원 강화를 제안했다.
백 구의원에 따르면 대구지역 위기임신지원센터로 등록된 A시설에 산모와 영유아에 대해 조례를 통한 예산 등 공적 지원이 더해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우선 A시설에 전담 사회복지사를 배치해 산모의 양육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경제적인 자립을 돕는 등 기초단체 차원의 보다 세부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지연기자 ljy@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