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말까지 66개소 대상 185억 투입
내년부터 성서산단 지역 집중개선 추진
내년부터 성서산단 지역 집중개선 추진
대구광역시는 도시 대기질 개선을 위해 올해 말까지 노후 대기오염방지시설 66개소를 전면 교체한다고 27일 밝혔다.
대기오염방지시설은 사업장에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교체 후에는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80%에 이른다.
대구시는 2019년부터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후 방지시설 교체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2022년까지 498억원을 투입해 229개 사업장의 방지시설 교체를 지원했고 올해는 66개 사업장에 185억원을 지원해 연말까지 교체를 추진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방지시설 교체 후 배출농도를 법정 기준보다 상향해 대기오염물질은 기준의 50% 이내, 복합악취는 30% 이내를 만족해야 한다는 준공 조건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지시설을 집중적으로 개선한 염색산단의 경우 인근 이현동 도시대기측정소의 연간 평균 측정값이 미세먼지는 2019년 43㎍/㎥에서 2022년 30㎍/㎥, 질소산화물은 2019년 0.024ppm에서 2022년 0.017ppm으로 감소하는 등 대기질이 개선됐다. 또한 악취와 육안으로 보이는 굴뚝 연기도 현저히 감소하는 등의 가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는 내년부터 인구밀집 지역인 성서산단의 노후 대기오염방지시설도 집중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2022년부터 사업대상 선정에 앞서 오염물질 포집부터 이송·처리까지 전단계에 거쳐 처리효율을 점검하는 전문가 사전 기술진단 사업을 추진해 효과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허종정 대구시 기후환경정책과장은 “재정적·기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사업장을 지원하고 도시 대기질 개선을 위해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윤정기자 yj@idaegu.co.kr
대기오염방지시설은 사업장에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교체 후에는 대기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80%에 이른다.
대구시는 2019년부터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후 방지시설 교체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2022년까지 498억원을 투입해 229개 사업장의 방지시설 교체를 지원했고 올해는 66개 사업장에 185억원을 지원해 연말까지 교체를 추진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방지시설 교체 후 배출농도를 법정 기준보다 상향해 대기오염물질은 기준의 50% 이내, 복합악취는 30% 이내를 만족해야 한다는 준공 조건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지시설을 집중적으로 개선한 염색산단의 경우 인근 이현동 도시대기측정소의 연간 평균 측정값이 미세먼지는 2019년 43㎍/㎥에서 2022년 30㎍/㎥, 질소산화물은 2019년 0.024ppm에서 2022년 0.017ppm으로 감소하는 등 대기질이 개선됐다. 또한 악취와 육안으로 보이는 굴뚝 연기도 현저히 감소하는 등의 가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는 내년부터 인구밀집 지역인 성서산단의 노후 대기오염방지시설도 집중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2022년부터 사업대상 선정에 앞서 오염물질 포집부터 이송·처리까지 전단계에 거쳐 처리효율을 점검하는 전문가 사전 기술진단 사업을 추진해 효과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허종정 대구시 기후환경정책과장은 “재정적·기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사업장을 지원하고 도시 대기질 개선을 위해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윤정기자 yj@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