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만 공동 사진전 27일까지
양국 민주화 운동 출발 공통점
양국 민주화 운동 출발 공통점
대구 2.28민주운동과 대만 228사건을 사진을 통해 재조명하는 한국-대만 공동 사진전 ‘228×228’전이 18일부터 27일까지 대구 김광석길에 있는 갤러리 토마, 갤러리 보나, 갤러리 문101에서 열린다. 사진전에는 한국의 사진기록연구소 작가 5명과 대만의 사진가 6명이 사진 100여 점을 선보인다.
한국과 대만은 모두 일제 식민지배를 겪었고, 해방 이후 암울했던 독재를 경험한 뒤 민주화를 이뤄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여기에 228이라는 숫자 또한 공통분모다. 1960년 일어난 대구 2.28민주운동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운동으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됐고, 이후 벌어진 수많은 민주화 운동의 효시로 평가받는 역사적 사건이다. 이보다 앞서 1947년 발생한 대만 228 사건은 담배행상 여인 구타 사건으로 인한 대만 민중의 봉기로 대만 민주화의 출발점으로 기록된 사건이다.
한국과 대만의 사진가들은 228이라는 숫자에 주목한다. 대구와 타이페이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는 2.28기념공원의 장소적 의미에서 시작해 228이라는 숫자가 오늘날 각자의 조국에서 어떤 의미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또 228이 남긴 상처와 성과, 그리고 과제에 대한 성찰의 결과를 사진에 담았다.
전시오픈에 맞춰서 같은 제목의 사진집(144페이지) 출판을 한다. 2023대구사진비엔날레 기간에 맞춰 열리는 이번 전시는 내년 대만에서도 열릴 예정이다.
한편 사진기록연구소는 대구의 중견사진가들이 주축이 된 사진예술단체로 2014년 대구도시철도 3호선 기록사진집 ‘Line3’을 시작으로 ‘오래된 물길(2015)’, ‘시선(2016)’, ‘인물탐구(2017)’, ‘기억, 기록, 기술-달성공원에서 교동시장까지(2018)’, ‘이방인의 시선(2019)’, ‘부서지고, 세워지고(2019)’, ‘Scrap and Bulid(2021)’. ‘군위(2022)’등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이야기를 사진기록으로 남기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황인옥기자 hio@idaegu.co.kr
한국과 대만은 모두 일제 식민지배를 겪었고, 해방 이후 암울했던 독재를 경험한 뒤 민주화를 이뤄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여기에 228이라는 숫자 또한 공통분모다. 1960년 일어난 대구 2.28민주운동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운동으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됐고, 이후 벌어진 수많은 민주화 운동의 효시로 평가받는 역사적 사건이다. 이보다 앞서 1947년 발생한 대만 228 사건은 담배행상 여인 구타 사건으로 인한 대만 민중의 봉기로 대만 민주화의 출발점으로 기록된 사건이다.
한국과 대만의 사진가들은 228이라는 숫자에 주목한다. 대구와 타이페이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는 2.28기념공원의 장소적 의미에서 시작해 228이라는 숫자가 오늘날 각자의 조국에서 어떤 의미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또 228이 남긴 상처와 성과, 그리고 과제에 대한 성찰의 결과를 사진에 담았다.
전시오픈에 맞춰서 같은 제목의 사진집(144페이지) 출판을 한다. 2023대구사진비엔날레 기간에 맞춰 열리는 이번 전시는 내년 대만에서도 열릴 예정이다.
한편 사진기록연구소는 대구의 중견사진가들이 주축이 된 사진예술단체로 2014년 대구도시철도 3호선 기록사진집 ‘Line3’을 시작으로 ‘오래된 물길(2015)’, ‘시선(2016)’, ‘인물탐구(2017)’, ‘기억, 기록, 기술-달성공원에서 교동시장까지(2018)’, ‘이방인의 시선(2019)’, ‘부서지고, 세워지고(2019)’, ‘Scrap and Bulid(2021)’. ‘군위(2022)’등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이야기를 사진기록으로 남기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황인옥기자 hio@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