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21일 “부의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의 해법 중 하나가 교육 혁신”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글로벌 교육·혁신 서밋’(GEIS)에 참석, 축사를 통해 “지금의 급속한 기술 혁신이 부의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미래 세대가 살아갈 디지털 시대는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삶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며 “미래 세대가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공정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한민국은 이런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해 과감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해 2025년부터 현장에 적용할 것”이라며 “교사가 AI 기술로 수집한 학생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지원까지 제공하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반도체 특성화대학 등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고등교육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는 과감히 혁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류길호기자 rkh615@idaegu.co.kr
한 총리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글로벌 교육·혁신 서밋’(GEIS)에 참석, 축사를 통해 “지금의 급속한 기술 혁신이 부의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미래 세대가 살아갈 디지털 시대는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삶의 방식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며 “미래 세대가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공정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한민국은 이런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해 과감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해 2025년부터 현장에 적용할 것”이라며 “교사가 AI 기술로 수집한 학생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지원까지 제공하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반도체 특성화대학 등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고등교육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는 과감히 혁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류길호기자 rkh615@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