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산내면·칠곡 기산면 등 4곳
25개 노선 하루 평균 61회 운영
이용요금 100원~1300원 저렴
주민 생필품 구매 대행 서비스도

노령층이 많은 오지는 자가용이 없으면 쉽게 이동할 수 없는 열악한 교통환경으로 장보기나 병원진료 같은 기본적인 생활도 어려운 상황이다.
수요응답형 시골버스는 시내버스나 농어촌버스 노선이 없는 오지마을과 버스노선이 있는 면 소재지 지역을 연결해 병원 진료, 장보기, 농자재 구매, 기본 경제활동으로 이동이 필요한 주민들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2015년부터 도입해 운행하고 있다. 장날이나 주말에는 운행회수를 늘려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포항 죽장면, 경주 산내면, 칠곡 기산면, 울진 기성면 4개 시군, 25개 노선에 중·소형버스 9대를 배차해 하루 평균 61회 운행해 교통 취약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포항과 경주지역 시골버스는 지역 사정에 밝은 마을주민 6명을 운전원으로 채용해 주민 수요와 의견을 더욱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지역 일자리까지 새롭게 만드는 효과까지 얻고 있다.
운전원은 주민들과의 친분과 신뢰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안부를 묻고 살피는 지킴이 역할을 하고 거동이 불편한 주민의 생필품 구매 대행과 배송 서비스까지 도맡아 하고 있다.
이용요금은 시군별로 100원부터 1천300원까지로 저렴한 편이다. 무료 환승이 가능해 교통카드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고 기존보다 탑승 소요 시간 감소와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나타났다.
2022년 기준 6만172명이 시골버스를 이용해 주민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시군과 함께 시골 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지난 한해 운송회사에 6억6천800만원(도비 2억, 시군비 4억6천800만원)을 지원했다.
최영숙 경제산업국장은 “교통 접근성은 도민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기초적인 복지”라며 “취약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과 교통복지를 위해 다양한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상만기자 ksm@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