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李 혐의’ 부각 대응 고심
대법원장 후보 임명동의안
정기국회 쟁점 법안 처리 등
여야 첨예한 대립 이어질 듯

여야는 2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대치 정국이 더욱 냉각될 것이란 전망이다. (관련기사 참고)
‘검찰의 야당 탄압 수사’라는 민주당의 기존 주장이 힘을 받게 되면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정조준했던 국민의힘은 당분간 수세에 몰리게 됐다.
당장 정기국회에서 쟁점 법안 처리,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등을 놓고 여야 간 첨예한 갈등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 대표 영장 기각에 대해 “사필귀정”이라며 정부와 국민의힘을 상대로 총반격에 나섰다.
윤석열 대통령과 검찰, 국민의힘이 야당 탄압에만 몰두한 것이 입증됐다며 내각 총사퇴를 통한 국정 기조 대전환을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 영장 기각이 범죄 혐의에 대한 무죄 판단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 국민의힘은 “법원이 개딸(이재명 강성 지지층)에 굴복했다”며 “이 대표와 민주당은 오늘 결정이 범죄 행위에 대한 면죄부가 아님을 직시하라”고 요구했다.
정기국회 역시 여야 간 정면 대결 구도 속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민생 분야 협치를 요구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이 대표와 친명(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대여 투쟁을 강화할 공산이 커졌기 때문이다.
당장 2주 뒤 시작될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 심판’을 전면에 내건 민주당을 상대로 방어전을 펼쳐야 한다.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 역시 거대 야당인 민주당이 부결시킨다면 대법원장 공백 사태가 더욱 장기화할 수 있다.
200여일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여야의 셈법 역시 한층 복잡해졌다.
국민의힘은 야당 대표 사법 리스크에 따른 정치적 반사이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만큼 자체적으로 수도권과 중도층 민심을 공략할 전략 마련이 시급해졌다.
반면 민주당에는 친명(친이재명)·비명(비이재명)간 내홍이 남아 있다. 민주당의 단일대오가 흐트러진다면 국민의힘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류길호기자 rkh615@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