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산업 통합 플랫폼 ‘GBinPLUS+’ 1단계 구축 완료 보고회
전입·전출 데이터 시각화 가능
시간대별 이동·소비패턴 분석
지역 맞춤형 관광 콘텐츠 개발
전입·전출 데이터 시각화 가능
시간대별 이동·소비패턴 분석
지역 맞춤형 관광 콘텐츠 개발
경북도는 20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인구감소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한 인구-산업 통합플랫폼 ‘GBinPLUS+’ 1단계 구축 완료 보고회를 가졌다.
GBinPLUS+는 지난해 8월부터 경북도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협업해 추진하는 공간정보 기반의 광역-기초 공동업무 활용 플랫폼이다.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것으로 도와 시군은 인구감소지역의 실시간 추적 관리와 원인 분석으로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주요 기능은 통계 시각화, 데이터 분석 지원,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정책 평가 지원, 대민포털(우리마을자원 둘러보기) 등이다.
통계 시각화는 인구통계, 전입·전출, 경북 특화통계, 산업통계, 인구감소지수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시각화해 각종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고 데이터 분석 지원은 지도 기반 분야별 공공데이터를 다양한 통계분석 기능을 통해 인구감소 현상의 사회적 요인 분석이 가능하다.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은 통신사와 카드 데이터로 경북의 시간대별 인구이동과 소비패턴을 분석해 지역 맞춤형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정책 평가 지원은 정책 시행지역의 결과 평가를 위한 지표 선정 및 데이터 비교 분석으로 각종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대민포털은 아동복지시설 등 마을자원 데이터와 정책 안내를 차트와 지도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는 GBinPLUS+를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운영하기로 하고 내년 2단계 사업은 생활·투자·상권 입지 분석과 청년 취·창업 정보 등을 신규 서비스로 개발하고 기존 공공데이터 범위를 확대해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혁준 메타버스과학국장은 “GBinPLUS+는 인구감소지역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인 분석을 통해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고 도와 시군이 함께 인구감소 문제 극복과 데이터 기반 행정 실현으로 지방시대 주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만기자
GBinPLUS+는 지난해 8월부터 경북도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협업해 추진하는 공간정보 기반의 광역-기초 공동업무 활용 플랫폼이다.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것으로 도와 시군은 인구감소지역의 실시간 추적 관리와 원인 분석으로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주요 기능은 통계 시각화, 데이터 분석 지원,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정책 평가 지원, 대민포털(우리마을자원 둘러보기) 등이다.
통계 시각화는 인구통계, 전입·전출, 경북 특화통계, 산업통계, 인구감소지수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시각화해 각종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고 데이터 분석 지원은 지도 기반 분야별 공공데이터를 다양한 통계분석 기능을 통해 인구감소 현상의 사회적 요인 분석이 가능하다.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은 통신사와 카드 데이터로 경북의 시간대별 인구이동과 소비패턴을 분석해 지역 맞춤형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정책 평가 지원은 정책 시행지역의 결과 평가를 위한 지표 선정 및 데이터 비교 분석으로 각종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대민포털은 아동복지시설 등 마을자원 데이터와 정책 안내를 차트와 지도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는 GBinPLUS+를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운영하기로 하고 내년 2단계 사업은 생활·투자·상권 입지 분석과 청년 취·창업 정보 등을 신규 서비스로 개발하고 기존 공공데이터 범위를 확대해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혁준 메타버스과학국장은 “GBinPLUS+는 인구감소지역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인 분석을 통해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고 도와 시군이 함께 인구감소 문제 극복과 데이터 기반 행정 실현으로 지방시대 주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만기자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