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남구·서구
거주지 미등록 체류인구 많아
학교·생업·여행 등 이유 머물러
“등록인구 중심 정책 벗어나
체류인구 정착 힘써야” 주문
거주지 미등록 체류인구 많아
학교·생업·여행 등 이유 머물러
“등록인구 중심 정책 벗어나
체류인구 정착 힘써야” 주문
대구 인구감소지역 3곳의 생활인구가 등록인구의 4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인구는 지난해 도입된 개념으로 등록인구(주민등록+외국인등록)와 체류인구의 합산으로 산정된다. 등록된 거주지에 상관없이 통근, 통학, 관광 등 목적으로 하루 3시간 이상, 월 1회 이상 지역에 머물면 체류인구로 포함된다.
현재 대구의 인구감소지역은 군위군과 남구, 서구 3곳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2021년 10월 지정한 전국 89곳에 포함됐으며 인구감소지역은 5년 주기로 지정된다.
올 1분기(1∼3월) 전국의 인구감소지역이 체류인구가 많아 생활인구가 등록인구보다 곱절 이상 많았다. 실제 거주지 등록을 하지는 않았지만 학업, 생업, 여행 등의 이유로 해당 지역을 드나드는 사람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인구소멸위기 대응책이 등록인구 일변도를 벗어나 관광자원 개발 등 체류인구를 지역에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다양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행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대구 3곳의 월평균 생활인구는 총 135만600여명으로 집계됐다. 등록인구(33만700여명)에 비해 체류인구(101만9천800여명)는 약 3.1배, 생활인구는 4.1배 많았다.
군위군은 월평균 체류인구(14만5천400여명)가 등록인구(2만3천300여명)보다 6.2배나 많았다. 합계 생활인구는 16만8천700여명이었다.
남구는 생활인구가 61만100여명이었다. 체류인구는 46만9천700여명으로 등록인구(14만400여명) 대비 3.3배 차이가 났다.
서구는 생활인구가 57만1천600여명이었다. 체류인구는 40만4천700여명으로 등록인구(16만6천900여명)보다 2.4배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대체로 등록인구는 50대 이상이 40대 이하보다 비중이 높은 반면 체류인구는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거주 인구는 고령층이 많지만 실생활 인구는 상대적 저연령층이 많다는 뜻이다.
경북 청도군과 영덕군도 체류인구가 등록인구에 비해 각각 7.8배, 7.5배 많아 순위권에 들었다.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체류 일수는 3.4일로 분석됐다. 행안부와 통계청은 주민등록과 외국인등록 정보를 통신사 이동통신 자료와 결합해 산정하고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통계적 특성, 활동 특성 등을 분석해 최근 이러한 결과를 공표했다.
행안부 관계자는“이번 분석 결과를 수요 기관에 제공해 인구감소 대응 사업과 시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각 지자체가 지역별로 체류하는 인구의 특성에 맞춰 지역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용규기자 pkdrgn@idaegu.co.kr
생활인구는 지난해 도입된 개념으로 등록인구(주민등록+외국인등록)와 체류인구의 합산으로 산정된다. 등록된 거주지에 상관없이 통근, 통학, 관광 등 목적으로 하루 3시간 이상, 월 1회 이상 지역에 머물면 체류인구로 포함된다.
현재 대구의 인구감소지역은 군위군과 남구, 서구 3곳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2021년 10월 지정한 전국 89곳에 포함됐으며 인구감소지역은 5년 주기로 지정된다.
올 1분기(1∼3월) 전국의 인구감소지역이 체류인구가 많아 생활인구가 등록인구보다 곱절 이상 많았다. 실제 거주지 등록을 하지는 않았지만 학업, 생업, 여행 등의 이유로 해당 지역을 드나드는 사람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인구소멸위기 대응책이 등록인구 일변도를 벗어나 관광자원 개발 등 체류인구를 지역에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다양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행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대구 3곳의 월평균 생활인구는 총 135만600여명으로 집계됐다. 등록인구(33만700여명)에 비해 체류인구(101만9천800여명)는 약 3.1배, 생활인구는 4.1배 많았다.
군위군은 월평균 체류인구(14만5천400여명)가 등록인구(2만3천300여명)보다 6.2배나 많았다. 합계 생활인구는 16만8천700여명이었다.
남구는 생활인구가 61만100여명이었다. 체류인구는 46만9천700여명으로 등록인구(14만400여명) 대비 3.3배 차이가 났다.
서구는 생활인구가 57만1천600여명이었다. 체류인구는 40만4천700여명으로 등록인구(16만6천900여명)보다 2.4배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대체로 등록인구는 50대 이상이 40대 이하보다 비중이 높은 반면 체류인구는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거주 인구는 고령층이 많지만 실생활 인구는 상대적 저연령층이 많다는 뜻이다.
경북 청도군과 영덕군도 체류인구가 등록인구에 비해 각각 7.8배, 7.5배 많아 순위권에 들었다.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체류 일수는 3.4일로 분석됐다. 행안부와 통계청은 주민등록과 외국인등록 정보를 통신사 이동통신 자료와 결합해 산정하고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통계적 특성, 활동 특성 등을 분석해 최근 이러한 결과를 공표했다.
행안부 관계자는“이번 분석 결과를 수요 기관에 제공해 인구감소 대응 사업과 시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각 지자체가 지역별로 체류하는 인구의 특성에 맞춰 지역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용규기자 pkdrgn@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