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 잠재력 거름 삼아 ‘희망의 꽃’ 피운다
무한 잠재력 거름 삼아 ‘희망의 꽃’ 피운다
  • 김정석
  • 승인 2014.07.04 16: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 신도청 시대 새로운 비상>

4. 도청신도시, 대한민국 중심으로 우뚝

산업 전 분야 유·무형 파급 효과 기대

대기업 등과 신도시 투자유치도 활기
/news/photo/first/201407/img_135733_1.jpg"IMG_0046/news/photo/first/201407/img_135733_1.jpg"
경북도청 이전과 신도시 조성으로 발전의 획기적인 기회를 맞고 있는 경북도와 안동시, 예천군 등이 지난해 경북도립대학에서 상생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내년 하반기 경북도청 이전과 함께 신도청시대가 개막되면서 신청사 일대 12㎢에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인구 10만의 자족도시인 도청신도시가 함께 건설된다.

경북도청 이전에 이어 도의회, 도교육청, 경북지방경찰청을 비롯한 유관기관 및 단체의 이관까지 시작되면 경북도청 이전지가 일으키게 될 파급 효과는 예상보다 훨씬 큰 수준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이번 도청 이전 사업을 경북도의 잠재력과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절호의 기회로 삼을 방침이다.

전 산업분야에 걸쳐 거대한 생산 유발 효과 및 부가가치 창출, 고용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추정되는 까닭이다.

◇도청 이전 생산 유발 효과 21조 이상

도청 이전과 신도시 건설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를 정확히 추정하기란 쉽지 않다.

경제적 파급 효과를 추정키 위해 동원되는 변수들이 다양하고, 지역 간 연관 효과도 복잡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개략적 예측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정확한 예측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문가들은 도청 이전 및 신도시 조성으로 전 산업분야에 걸쳐 엄청난 유·무형의 파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유형적 파급 효과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나타나고, 무형적 파급 효과는 도정의 구심점 및 상징성 확보, 지역 정체성 제고 등이 꼽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경북도청 신도시 건설에 따른 경북도 전체의 경제적 파급 효과 중 생산 유발은 21조1천799억원, 부가가치 창출은 7조7천768억원, 전체적인 고용 유발은 13만6천여명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수치들이 1차적 파급 효과에 해당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쇄적으로 일어날 2~3차적 파급 효과로 경북도가 얻게 될 이득은 이보다 훨씬 큰 규모에 이를 수 있는 셈이다.

특히 신도시가 건설될 안동시에서는 도청 이전의 기대감에 따라 일찍부터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안동시는 지난 수십년간 쉴 새 없이 인구가 빠져나갔지만, 도청 이전이 결정된 2008년의 이듬해부터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안동 인구가 35년 만에 바닥을 치고 증가세로 돌아선 2009년 한 해 동안 인구가 132명이 늘었다. 이어 2010년에는 454명, 2011년 271명, 2012년 145명으로 조금씩 증가했다.

언뜻 유입된 인구의 수가 적은 것처럼 보이지만, 안동의 인구가 지난 1976년 안동댐 건설 등을 이유로 매년 2천명씩 줄어들었던 것을 감안하면 경북도청 이전이 낳는 기대감이 상당하다는 의미다.

앞으로도 안동 인구는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도청 이전에 따른 직원 이주와 신도시 조성을 비롯해 사통팔달의 교통 인프라 구축, 각종 교육 및 문화시설 조성 등 경북의 중심지가 경북 동남권에서 북부권으로 옮겨가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도청이 들어설 지역에는 투자유치도 활기를 띄고 있다.

경북도는 올들어 지난 5월까지 대기업 등의 신도시 투자유치 양해각서 체결 16건에 7천902억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천700여억원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로 1천57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지난 4월 한 달간 안동·예천 도청 이전 신도시에 미국계 호텔업체의 대규모 한옥형 호텔, 상주시에 기업 연수원, 청송군과 문경시에 리조트 등 고용효과가 높은 관광서비스 산업을 유치했다. 지금까지 경북에 대한 투자유치가 경북 동남권에 몰려 있었던 데 비해 도청신도시 조성과 함께 북부권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news/photo/first/201407/img_135733_1.jpg"IMG_1690/news/photo/first/201407/img_135733_1.jpg"
경북 신도청 시대를 개막을 앞두고 도청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사통팔달의 도로망 건설이 한창이다. 경북도 제공
◇파급 효과 담아낼 수 있는 그릇 만들어야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건설 시기에 맞춰 안동과 예천, 신도시를 포괄하는 연담도시(聯擔都市·인접한 여러 도시가 동일 생활권을 형성해 하나의 대도시로 간주되는 도시) 건설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안동시는 문화도시로, 신도시는 첨단행정 중심도시로, 예천군은 친환경 복지농촌도시로 특화시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최대한 집적시켜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거시적으로 선택과 집중이 이뤄지면서 연담도시 전체를 조화롭게 이뤄나가자는 의견이다.

예천군에서도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와 상생 발전을 이루기 위해 전력을 쏟고 있다.

예천군은 곤충바이오 엑스포를 2015년까지 3천억원 규모로 성장시켜 곤충시장을 선점하고, 내성천 종합정비, 한천 고향의 강 조성, 국립백두대간 산림치유단지 조성, 제2농공단지 조성사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함으로써 도청 신도시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안동 역시 신도청 시대를 대비하는 구제적인 문화도시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안동시는 유교문화를 기반으로 문화와 생태, 관광을 전략적으로 접목하는 움직임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선도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세계유교선비문화공원과 한국문화테마파크는 우리나라 정신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유교문화를 21세기 첨단문명을 활용해 현대인의 의미에 맞게 재발견할 수 있도록 조성된다.

이는 한국의 의식주를 테마로 한 고유문화를 제대로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도청 신도시의 연담도시로서 안동의 관광경제를 이끌어 갈 가능성이 짙다.

도청 신도시 건설에 발맞춘 예천군과 안동시의 다양한 인프라 조성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신도시 역시 ‘유비쿼터스도시(U-city)’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경북도는 도청 이전지인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에 조성 중인 신도시를 디지털 첨단기능도시로 조성키 위해 ‘유비쿼터스도시 사업협의회 운영조례’를 지난 3월 6일 공표했다.

유비쿼터스도시 사업협의회 운영조례의 주요 내용은 도청 이전 신도시 등 도내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사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키 위해 사업계획 및 실시계획과 기반시설의 관리운영 및 재정 확보방안 등을 협의하기 위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토록 한 것이다.

신도시 U-city 건설사업은 3단계로 나눠 추진되는데, 1단계 사업은 신도시 1단계 건설사업과 동일한 면적 4.89㎢에 21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 올해 하반기 착공해 오는 2016년까지 공공정보통신망과 도시통합운영센터 등 기반시설을 구축한다. 또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교통제어, 공공지역 안전감시, U-자전거, 상수도시설관리, 공동구관리 등 우선 6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도는 앞으로 U-city 사업협의회를 구성하고 사업계획에 대한 협의·조정절차를 거친 후 올해 하반기 도청 이전 신도시 U-City 건설 1단계 사업 착공을 시작으로 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이 완료되는 2027년께에는 살기 편한 첨단 IT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다.

최대진 도청이전추진본부장은 “도청 신도시는 북부권의 획기적 발전과 도내 균형개발을 이끌고 특히 경북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전진기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만기자 ksm@idaegu.co.kr
김정석기자 kjs@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