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지역 임대주택 2천440가구 공급
LH, 지역 임대주택 2천440가구 공급
  • 김주오
  • 승인 2014.02.28 15: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입임대, 50㎡ 기준 보증금 400만원·월임대료 8~10만원
전세임대, LH서 집주인과 전세계약 체결후 맞춤형 재임대
국민행복 실현을 위한 보편적 주거복지 추구를 최우선 과제로 선언한 정부의 정책의지를 반영해 LH 대구·경북지역본부가 지역주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다.

매입임대는 도심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의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다가구주택 등 기존주택을 매입해 개·보수 후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이다.

사업대상지는 광역시 및 인구 10만이상 지역으로, 대구시, 구미, 경주, 안동, 김천, 상주, 영천, 칠곡으로 사업에 적합한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다

입주대상은 기초 생활수급자와 보호대상한부모가족(1순위), 그리고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2013년 3인 가구 기준 460만6천216원)의 50% 이하 가구와 장애인(2순위)이다.

임대조건은 50㎡를 기준으로 보증금400만원, 월임대료 8∼10만원으로 시중시세의 30% 수준이며 최장 20년간 거주가 가능하다.

LH 대구·경북본부는 이 사업을 위해 2004년부터 2012년 말까지 총 4천517가구를 매입했고 올해도 대구 315가구, 경북 305가구 등 620가구를 매입할 계획이다.

매도를 희망하는 다가구주택 등의 소유자는 28일부터 3월21일까지 LH 대구본부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매도신청하면 된다

신청서류, 매입대상주택 선정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LH 대구경북 주거복지부(전화 053-603-2741)로 문의하거나 LH 홈페이지(www.lh.or.kr)에 게시된 다가구 매입공고문에서 확인 가능하다.

전세임대는 입주대상자가 입주 희망주택을 직접 물색하면 LH에서 집주인과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이를 재임대하는 맞춤형으로 공급된다.

입주대상과 임대조건은 매입임대와 유사하나 LH에서 임대할 주택을 매입하지 않고 전세계약을 통해 확보해 공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 전세임대는 결혼 5년 이내의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소득 50% 이하의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신혼부부 전세임대와 교통사고 유자녀 가정, 아동복지시설퇴소자 등을 위한 소년소녀가정 전세임대가 별도로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사회적 이슈가 된 대학생들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학생 전세임대를 도입해서 공급 중에 있다.

LH 대구경북본부는 2005년 사업시행 이후 2012년 말까지 기존주택 6천815가구, 신혼부부 2천254가구, 소년소녀 857가구 및 대학생 773가구 등 총 1만699가구의 전세임대주택을 지원했다. 그리고 올해에도 총 1천820호의 전세임대를 지원 할 계획이다.

전세임대 입주는 희망하는 자격대상자는 오는 10일부터 14일까지 지자체에 신청해 대상자로 선정 받고, LH로부터 계약대상자선정 통보을 받으신 후 지원가능 전세주택을 물색해 전세 계약을 체결하면 된다.

매입·전세임대사업은 생활 근거지인 도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직장 근처에서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직주 근접의 장점과 더불어 소득수준에 따른 주거지역 구분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와 갈등을 예방하는 소셜 믹스(Social Mix)의 기능까지 더불어 수행하고 있다.

매입·전세임대주택은 1993년 이후 중단됐다가 2013년 하반기 공급이 재개된 영구임대주택과 함께 소득 1, 2분위에 해당하는 최저소득계층의 주거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정부의 대표적 주거복지사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매입·전세임대사업 역시 현 부동산 시장 상황 하에서는 결코 추진이 쉽지 않다. 매입임대사업의 경우 도심내에서 저렴한 우량주택 매입물량을 확보해야 하고 전세임대 역시 지원범위에 부합하는 적정한 임차 물건을 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야 한다.

임대 아파트 단지와 달리, 매입·전세임대주택은 산재된 주택의 특성상 관리와 입주자에 대한 주거복지 서비스의 제공에 매우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건설임대의 단점을 보완하고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지원제도 본래의 취지에 맞게 확대·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적정한 운영 인력의 확보와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 돼야 할 것이다.

김주오기자 kim-yns@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