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韓民國 安東에서
大韓民國 安東에서
  • 승인 2014.07.23 21:3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ews/photo/first/201407/img_137148_1.jpg"/news/photo/first/201407/img_137148_1.jpg"
김용락 시인
안동 낙동강 철교 밑에서

물가 버드나무 가지 꺾어 회초리 만들어 들고

초여름 한나절을 은어 떼 좇다가

지친 몸을 강둑에 누이고

버들피리 꺾어 불면

철교 위를 덜커덩거리며 지나가는

기차의 무쇠 소리에 놀라

푸드덕 날아올라 유영하던

흰 왜가리 떼 날개 짓 사이로

내 유년은 그렇게 서정적으로 흘러갔다

사업 실패하고 빚에 졸려

낙동강 변에서 자살로 짧은 인생을 끝내버린

외사촌 형의 유골을

말없이 강물에 흘려보내면서

어린 나이에 이미 고된 인생의 맨 얼굴을 봐야했던

비극적으로 슬프던

내 소년의 일부도 강물 속으로 날아갔지

비오는 어느 80년 대 초 4.19 날

겁 없이 안동공고 영어수업을 제끼고

댐 민속박물관 앞에 옮겨 놓은

육사시비 앞에서 혼자 눈물 흘리며

80년대 전두환 군사정권에

비분강개 두 주먹 불끈 쥐던

내 청춘은

독일 문호 괴테의 말처럼

고민하였으므로 한없이 방황하는

속절없이 아름다운 청춘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대한민국 安東은

내 평생 갖고 갈 정신의 뼈대를 세워준 곳

다시 태어나도 그곳에서

한 세월을 살고 싶은 곳

20대 이마 푸른 청춘이

권정생, 전우익, 이오덕과

맨발의 민족시인 임병호를 만난 곳

농민운동가 권종대 선생을 만난 곳

그곳에서 이육사를 노래하고

권정생의 ‘한티재’를 읽고

전우익의 ‘혼자서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를 배우고

이오덕의 ‘우리도 크면 농부되겠지’를 읊던

그 시절

아, 젊은 우리들 저항의 본산이던

가톨릭 목성동 성당이여

마구 쏟아지던 눈보라 속에서도

꼿꼿이 서 자태를 잃지 않던

농민의 분노여

선비의 정신이여

성당 초입 비탈 아래 오도카니 서 있던

사회과학 분도서점이여

안동문화회관이여

낙동강변의 가톨릭농민회관이여

끝내 안동 껀꺼이

이름 없는 민초들의

한 때 빛났던 聖地여!

(2012. 1. 3새벽)

▷▶김용락 경북 의성産.문학박사, 1984년 창비신작시집으로 등단, 매일신문 신춘문예 심사위원역임(1996~07) 세계시인대회(몽골) 한국대표시인 5인으로 참가. 한국작가회의 대구회장역임,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대구회장 역임. 2008 대구시협상, 2009 한시문협 올해의 시인상 시집 <푸른별> <기차소리를 듣고싶다> 외 다수 비평집 <민족문학논쟁사>외 다수

<해설> 누구에게나 생의 지렛대 같은 곳이 있다. 유년시절을 거쳐 청년기에 만난 역동의 세월 속에 그래도 문학이란 심지가 있어 살아갈 희망이 있었던 것이다. 너무 힘들었을 시기이지만 돌아서 그리움으로 회상할 수 있기에 오늘도 힘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영원한 성지인 안동이 있는 한. -김인강 -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