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감소세가 예사롭지 않다
수출 감소세가 예사롭지 않다
  • 승인 2015.05.05 15:1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호정 소설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의하면 지난 2월 주요 70개국의 교역액은 1조1천820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7.7%감소되었고 2010년 8월 1조1천180억 달러의 최저치기록이후 4년6개월 만에 가장 낮았으며 전 세계교역도 작년 10월의 1조4천880억 달러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출입침체의 주된 요인은 유가하락으로 지난달의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54.7달러로 1년 전 104.4달러의 절반수준으로 떨어져 원유의 거래와 석유관련제품수출이 동반 감소되었고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으로 진출했던 선진국기업들이 인건비상승으로 인해 다시 자국으로 되돌아오는 현상도 글로벌교역액의 감소를 가져왔다.

이처럼 세계수출시장이 유가하락으로 경기가 침체되고 교역이 감소되면 보호무역이 강화되고 다시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거듭되어 결국은 글로벌공급이 수요를 초과하여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는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으며 그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4월 우리나라의 수출금액은 462억1천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8.1%나 감소되어 2013년2월의 8.6%감소이래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고 4개월 연속감소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주된 요인은 역시 유가하락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43.3%와 20.1%각각 줄어들어 관련업계가 정기보수 등을 통해 생산물량을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4월수입 또한 유가하락과 맞물린 원자재가격의 하락으로 377억3천만 달러에 그쳐 전년 동기대비 17.8% 감소되었으며 절대금액을 차지하는 원유수입이 42.5%나 급감되었고 석유제품이 48.9%, 가스31.8%, 철강이 23.2% 줄어들어 4월 무역흑자가 사상최대치인 84억8천800만 달러나 되어 수입감소액이 수출감소액보다 더 큰 ‘불황형 흑자’가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으나 정부당국자는 소비부진으로 인한 수입 감소가 아니라며 이를 부인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사항은 일본의 엔저(円低)현상이다.

일본의 3월 수출은 엔화약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8.5%가 늘어나 7개월째 연속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2011년10월 100엔당 1천561원까지 하던 환율은 7년2개월 만에 900원선이 무너졌고 아베노믹스의 노골적인 엔저드라이브정책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용인하는 한 원고엔저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며 우리수출도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 4월의 대일본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2.6%나 감소되었고 감소폭도 전년 동기의 7.2%보다 커졌으며 일본과 대표적인 수출경쟁품목인 철강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공급과잉이 심화되는 가운데 가격경쟁에 밀려 전년대비 5.2% 감소되어 불안요인이 커지고 있다.

엔저현상은 우리의 수출단가를 하락시킬 뿐만 아니라 한류에 편승하여 한국을 찾던 중국여행객들마저 일본으로 발걸음을 돌리게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내수부진까지 겹쳐 3월의 일본소비자물가상승률이 2.3%인데 비해 우리의 4월 물가상승률은 0.4%에 그치고 있다.

우리의 수출은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의 수출은 기술과 품질에서 앞선 강소기업(强小企業)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반도체,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우리수출의 80%가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어 다 죽어가던 소니를 살려놓은 엔저가 계속된다면 우리는 새로운 성장산업과 경쟁 없는 신시장을 창출하고 노동시장을 개혁하는 등의 돌파구를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21세기의 경제는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서만 발전되고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경제외적인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할 수도 있으며 기업은 시속100마일로 달리는데 정부는 25마일, 정치권은 3마일로 기어가다가는 경제성장의 정지는 물론 부문 간 충돌도 피할 수 없다.

갈수록 심화되어가고 있는 국제경쟁과 기술혁신에 따른 제4차 산업혁명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수출의 주역인 기업들이 변화의 물결에 신속히 적응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가 속도차이를 극복하는데 자발적으로 동참해야 하고 특히 정부와 정치권은 시대착오적인 의식과 제도개선을 위한 가속페달을 더욱 강하게 밟아주어야 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