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꽃밭가꾸기
마을 꽃밭가꾸기
  • 승인 2019.05.29 21: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선희 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공동대표
5월은 장미꽃을 만나는 아름다운 계절이다. 특히 도시의 아파트 벽면에 피어난 덩쿨장미는 도시의 피곤한 삶을 잊게 한다. 하지만 모퉁이를 돌아서 만나게 되는, 후미진 곳이나 전봇대 아래의 쓰레기는 마음을 무겁게 한다.

주민들이 꼽는, 해결되어야 할 동네문제는 단연 쓰레기 문제다. 쓰레기를 버리지 말아야 할 시간이나 장소에 쓰레기를 버려, 동네가 지저분하고 악취가 난다는 것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1982년 3월에 공동 발표한 깨진 유리창(Fixing Broken Windows: Restoring Order and Reducing Crime in Our Communities)이라는 글에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이다.

한 마디로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는 이론으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무질서가 확산되어 큰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엄격한 법집행으로 무질서를 방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동네 쓰레기 방치의 경우 CCTV를 설치,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을 확인해 조치를 취하자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는다.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 교수에 의해 실행된 실험도 흥미롭다. 뉴욕의 한 골목길에 2대의 차를,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방치해 놓았다. 1대는 본넷만 열어 놓은 깨끗한 차량이고, 다른 한 대는 의도적으로 창문을 깨부순 상태로 주차를 해 놓았다.

시간이 지난 후, 깨진 유리창이 있는 차에 누군가 접근해서 밧데리를 빼어 갔고, 그 뒤에는 또 다른 이가 바퀴를 빼어 갔고, 혹은 신사복을 입은 사람이 지나가다가 깨진 유리창이 있는 차를 발로 차거나, 그 후 낙서나 투기, 차량 외관의 파손 등을 일으켰는데 일주일이 지난 후, 그 깨진 유리창의 차는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폐차가 되었고 단지 본넷만 열어둔 자동차는 특별히 어떤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단순하게 한 장의 깨어진 유리창이 투기와 파괴와 약탈을 불러들인 촉매가 된 것이다.

이때 유리창은 사회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기초질서이다. 작은 쓰레기가 방치되면 이 곳에 다른 주민들도 쓰레기를 버리고 음료수병, 고장난 의자도 버리게 된다. 어지간히 질서를 지키는 사람도 심리적으로 편하게 마음의 기초질서를 사라지게 만든다는 점에서 동네의 깨어진 유리창은 행정이 아니라 주민들이 스스로 없애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어있는 집이 늘어나면서 범죄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왜인가? 주인이 집을 돌보지 않아 잡초가 무성해지고 쓰레기가 방치되기 때문이다. 주인이 근처에 살지 않아서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도, 일정상 관리하지 못할 수도 있다. 사유재산의 보호는 주인의 관리가 전제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정 지역은 공가가 많고 그대로 방치되어 마을 전체가 어둡다. 주민들이 마을가구기를 하려고 해도 사유재산이라 접근이 어렵다. 행정은 주인에게 연락을 취해 빈 집이 방치되지 않도록 관리를 독려하는 지원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필자도 최근 주택 입구의 정원을 방치한 결과 쓰레기와 길고양이의 배설물 등으로 악취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청소하고 단장해 꽃을 심었다. 동네 분이 보고 분꽃을 나눠줘서 같이 심었다. 내년이면 더 어울어진 꽃밭을 볼 수 있을 것이고 씨앗을 이웃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공터를 정리해 꽃을 심는 주민이 늘어날 것이고 차 한잔 하면서 꽃에 대해, 동네에 대해 이야기꽃을 피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깨어진 유리창효과로 설명되는 주택가 쓰레기 더미는 꽃밭효과로 바꾸어보자. 꽃으로 가꿔진 집이나 건물, 거리 등은 외국의 멋진 사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구의 골목에서 볼 수 있도록 하자.

씨앗을 나누고 묘목을 나누며 동네일을 의논하다 보면 마을은 꽃밭이 되고 주민은 친밀성을 바탕으로 서로 신뢰하는 동네의 주인이 된다.

지금 동네마다 열리고 있는 주민참여예예산제로서 지역회의가 깨어진 유리창 효과를 뒤집는, 꽃밭효과의 실험실이 되기를 기대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