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의 인문학] 한계는 누가 정하는가?
[치유의 인문학] 한계는 누가 정하는가?
  • 승인 2024.03.07 21:5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성삼 대구한의대 교수
첫사랑이 아름다운 건 이루어지지 않아서가 아니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하는 사랑이기 때문이다. 힘들지만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사랑을 나누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 가슴으로 하는 사랑에는 권태감도 한계도 없다. 한계와 권태감은 실패한 이들이 가장 자주 쓰는 단어다.

과거 대한민국을 정의하는 말로 헬조선, 흙수저, 이생망, N포세대등이 있었다. 찬찬히 이 용어들을 뜯어보면 각자가 가진 열정과 의지 그리고 가능성을 포기한 부정적인 신조어들에 나를 둘러싼 정치적, 제도적, 환경적 여건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우리의 시선과 관점과 행동을 물리적 수정을 통해 360도 바꿔야만 극복 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코끼리 말뚝이론’ 이라고 있다. 서커스단에서 거대한 코끼리를 길들이기 위해 쓰는 방법인데 생각보다 원리가 간단하다. 아기 코끼리 때부터 뒷다리를 말뚝에 묶어놓는 방법으로 아무리 힘을 써도 말뚝을 벗어날 수 없다고 판단한 아기 코끼리는 나중에 말뚝을 뽑을 힘이 충분해져도 벗어나려 하지 않는다는 몸의 기억이다. 한 마디로 한계로 절망과 포기를 만들어내는 몸의 그루밍이다. ‘코이의 법칙’과 같은 의미다. 자신이 정한 한계와 포기는 절망과 같은 단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말뚝 때문에 꿈과 희망을 포기하는 것이다.

세상의 기록은 깨어지라고 있는 것이다. 한계에 길들여지는 99%의 사람들 가운데 꼭 1%의 한계에 도전하는 별종들이 있다. 어쩌면 세상은 그 사람들에 의해 진보하고 진화되어 왔는지도 모른다. 1950년대에 우리 인간들에게는 특별한 신체적 한계가 있었다. 인간은 절대로 1마일 즉, 1609M를 4분 안에 돌파할 수 없다는 한계. 이건 그 당시 최고의 의학계, 스포츠계 전문가들이 내린 임상적

결과였고 절대 명제였다. 만약 인간이 무리를 해서 4분 안에 들어온다면 인간의 심장은 체력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심장에 무리가 와서 심장마비로 죽거나 근육이 파열 될 거라고 무시무시한 예견까지 했다. 과학적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 의학계의 신뢰도와 운동전문가들의 타당도까지 더해진 그루밍적 한계상황에 사람들은 그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했다. 그리고 한결같이 모두 4분대 기록 언저리를 맴돌았다.

그런데, 딱 한 청년이 다른 생각을 했다. 불가능한 상황과 전문가들의 조언에 집중 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가능성과 새로운 접근 방법에 집중했다. Problem을 answer가 아닌 solution으로 풀었다. 문제를 하나의 정답인 answer로 볼 것이냐? 다양한 정답으로 해법을 찾는 solution으로 볼 것이냐? 결국 시각과 행동이 역사를 만들었다.

제일 먼저 그가 한 일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1마일을 뛰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현재의 방법으로 뛰어서는 도저히 4분 안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1마일인 1609M를 동일한 에너지로 달릴 경우 아무리 힘이 좋아도 나중

엔 스피드와 체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는 걸 발견하고는 새로운 러닝법을 개발했다. 트랙 400M를 4등분으로 나눈 후 직선코스와 곡선코스 이렇게 분리해서 직선코스와 곡선코스 사이의 짧은 거리 두 공간을 일반 주파속력으로 달리고 나머지 긴 거리를 전력주파속력으로 달리며 힘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최고의 신체적 컨디션을 동일하게 유지시켰다. 그리고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을 가지고 자신이 직접 달려보았다. 물론 로저 배니스트 자신이 육상선수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모두가 죽을 것이라 예상했고 모두가 죽는다며 도전하지 못했던 4분대의 기록을 로저 배니스터는 1954년 5월 6일 날 3분 59초 04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물론 그는 죽지도 근육이 파괴되지도 않았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사실은 로저 베니스터의 기록 갱신 이후 한 달 만에 무려 10명의 선수가 마의 4분의 벽을 깼고, 일 년 후엔 37명이, 2년 후엔 300명이 4분의 벽을 깼다.

결국, 마음이 한계와 절망을 만든 것이었다. 나에게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부터 한계는 깨어지기 시작한다. 잊지말자!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