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도전 과제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도전 과제
  • 승인 2013.06.24 17: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ews/photo/first/201306/img_101257_1.jpg"/news/photo/first/201306/img_101257_1.jpg"
김중연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조사부장
대구경북지역의 자동차부품산업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자동차부품산업이 지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부가가치액 기준)의 6.4%, 종사자 수의 9.1%에 이른다. 대구에서는 제조업중 제1산업으로 부상하였고 경북에서도 전자통신, 철강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통계자료에서 빠진 자동차부품 연관기업을 포함할 경우 그 위상은 더욱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 자동차부품 생산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일본 완성차 업체의 경영여건 악화, 국내 완성차의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가파르게 증가했다. 여타 업종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크게 부진한 것과 달리 자동차부품산업은 지역 제조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또한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고용유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산업연관표를 기준으로 시산한 자동차부품산업의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는 13.7로 제조업 평균(11.6)을 상회한다.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등에서는 자동차부품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연관산업의 발달 등 성장여건도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지역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은 2007년 지능형자동차 개발 특화지역으로 지정되어 ‘지능형자동차 상용화 연구기반 구축’, ‘ITS기반 지능형자동차 부품시험장 건립’ 등의 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이와 함께 대구지역에 테크노폴리스, 국가산업단지 등을 조성하여 자동차부품, 기계, 전자통신 등의 첨단제조업과 연구기관을 활발히 유치하고 있다.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은 범용부품의 생산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 지역에 완성차 업체가 없어 규모가 크고 차량조립순서에 맞추어 납품해야 하는 엔진이나 차체용 부품보다는 규모가 작은 기능성부품, 범용부품 등을 주로 생산한다. 2011년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매출은 내수 87.3%, 수출 12.7%로 구성되어 국내 완성차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높다. 전국 평균의 내수비중은 78.9%로 지역에 비해 낮고 전국의 자동차부품 수출실적에서 지역 부품업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8.5%(2012년 기준)에 불과하여 지역 자동차부품 생산의 전국비중(2011년 17.0%)을 하회한다.

최근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은 Global Supply Chain(GSC) 확산, 완성차 업체의 해외생산 확대, FTA 확산 등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해 기회와 위협요인이 혼재된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효율성 제고, 비용절감 등을 위해 글로벌 아웃소싱을 확대하면서 자동차산업의 GSC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선진국의 자동차부품 총수입에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 9.8%에서 2011년 24.3%로 크게 상승했다. 이러한 GSC 확산은 자동차부품업체간 경쟁을 심화시켜 품질, 가격 경쟁력 보유 여부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부품업체는 GSC 편입을 통해 매출 확대, 고용 증대 등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둘째, 국내 완성차 업체는 해외시장 개척, 무역장벽 회피 등의 목적으로 해외 현지생산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2012년중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 생산은 364만대로 전체 생산의 44.4%에 달한다. 해외 현지생산 확대에 맞춰 지역 부품업체의 동반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경우 글로벌 부품업체에 대한 납품기회 확대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미국(2012.3월), EU(2011.7월) 등 주요 선진국과의 FTA 발효는 자동차부품업체의 글로벌 시장진출에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FTA 발효 이전에도 자동차부품 수출이 양호하였던 점에 비추어 관세인하시 자동차부품의 수출증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영세업체 중심의 산업구조 등에 비추어 볼 때 최근의 환경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자동차부품산업을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GSC 편입 촉진, 선도기업 육성, 수출확대 지원, 전략적 투자유치와 같은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