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는 이러한 절호의 기회에 맞춰 정치 현실도 혁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구·경북은 보수와 산업화의 성지였다. 전쟁의 폐허를 딛고 나라를 다시 일으킬 때 대구·경북이 그 선두에 섰다. 시·도민과 정치권, 행정은 의기투합해 구국과 지역을 위해 밤낮없이 뛰고 또 뛰었다. 대구·경북은 진짜 역동적이었다. 구미는 전자, 대구는 섬유로 국가와 지역의 먹거리를 동시에 만들어 냈다.
1980년대를 거치면서 대구·경북은 다음 먹거리를 제때 찾지 못했다. 사실 산업화의 단맛에 빠져 있었다. 특히 정치권에 텃밭주의가 고착화되면서 정치권이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노력을 너무 소홀히 했다.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보수 정당의 깃발을 꽂기만 하면 '당선은 따논 당상'이었으니깐 말이다. 그렇다보니 보수 정당이 야당일 때는 물론 심지어 집권 여당일 때 조차 보수의 성지인 대구·경북을 등한시 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얼마 전 국민의힘 연찬회에서 왼쪽 날개와 오른쪽 날개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가 성장과 배분을 하면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두 날개가 다른 방향으로 향하면 절대로 함께 나아갈 수 없다고 우려하였다.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와 양평 고속도로 등을 둘러싼 야당의 억지 주장과 괴담 유포가 대표적인 사례다. 더불어민주당에게는 국정은 협치의 대상이 아니라 비난과 난도질 대상이었다.
또한 연찬회에서 김병준 전국경제인연합회 고문의 특강 내용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대통령의 국정 철학이 국민의힘과 내각 모두에 잘 설명되지 않는다고 쓴소리를 했다. 내부의 적이 더 무섭다는 얘기다. 싸우는 사람 따로 있고, 뒷짐만 지고 행동조차 하지 않는 여당 정치인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대구·경북은 가장 탄탄한 국민의힘 지지 지역이다. 대통령의 국정과 지방시대 성공에 대구·경북의 정치권이 누구보다 앞장서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필자의 기억으로는 그런 정치인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 과거 산업화에 앞장선 그 결기처럼 정치혁신의 본보기를 보여야할 때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은 헌법에 명시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가 기재다. 글로벌 중추국가 도약과 지방시대 성공이 핵심 국정과제다. 투철한 헌법정신 아래 윤석열정부의 국정을 돕고 대야 투쟁에 앞장서는 정치인, 지역을 잘 알고 지역을 위해 헌신할 자세가 된 검증된 정치인이 간절히 필요할 때다.
대구·경북민이 앞장 서 퇴행적 아날로그 사고와 행동에 매몰된 정치, 극도의 보신주의에 빠진 정치는 반드시 퇴출시켜야할 것이다. 생각부터 바뀌어야 한다 생각이 바뀌지 않으면 사람을 바꿔야 한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