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중장기사업 반영 추진
교과부와 이견…진통 예상
교과부와 이견…진통 예상
군 당국이 한국군의 독자적인 대북 감시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용 정찰위성을 단계적으로 전력화하기로 했다.
군 고위 관계자는 6일 “한국군은 정찰기 등 다양한 정보자산을 이용해 북한군의 활동을 감시할 수 있으나 지휘통제 및 지원시설 등이 위치한 적의 후방 지역에 대해서는 감시 능력이 제한적”이라며 “앞으로 적후방 종심 지역에 대한 한국군의 독자적인 감시 능력을 갖추기 위해 (군사용) 정찰위성을 중장기 계획에 반영해 단계적으로 전력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은 현재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촬영한 위성사진 등으로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로켓 발사장 등 북한 후방지역의 핵심 시설을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랑 3호는 군사전용이 아니어서 촬영주기가 길고 해상도도 0.7m급으로 떨어져 정밀 감시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비해 미군이 보유한 군사용 정찰위성의 해상도는 0.1m급으로 정밀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주기도 짧다. 미군은 한국군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일본도 현재 정찰위성 4기를 보유하고 있고 10개까지 늘릴 계획이나 우리는 1기도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며 “전시작전권 전환을 앞두고 효과적으로 대북감시를 하려면 군사용 정찰위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대선 기간 대북 감시 능력 확보를 위해 군사전용 위성과 무인정찰기 등 필요한 능력을 단계적으로 확보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군사용 정찰위성 확보에는 수천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중장기 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교육과학기술부는 군사전용 정찰위성보다는 다목적 위성을 쏘아 올려 정찰 기능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사업 추진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공군은 저궤도 위성인 정찰위성과는 별도로 정지궤도에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북한 미사일을 탐지하는 조기경보위성(DSP) 확보 사업에 대한 소요를 제기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군 고위 관계자는 6일 “한국군은 정찰기 등 다양한 정보자산을 이용해 북한군의 활동을 감시할 수 있으나 지휘통제 및 지원시설 등이 위치한 적의 후방 지역에 대해서는 감시 능력이 제한적”이라며 “앞으로 적후방 종심 지역에 대한 한국군의 독자적인 감시 능력을 갖추기 위해 (군사용) 정찰위성을 중장기 계획에 반영해 단계적으로 전력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은 현재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촬영한 위성사진 등으로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로켓 발사장 등 북한 후방지역의 핵심 시설을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랑 3호는 군사전용이 아니어서 촬영주기가 길고 해상도도 0.7m급으로 떨어져 정밀 감시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비해 미군이 보유한 군사용 정찰위성의 해상도는 0.1m급으로 정밀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주기도 짧다. 미군은 한국군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일본도 현재 정찰위성 4기를 보유하고 있고 10개까지 늘릴 계획이나 우리는 1기도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며 “전시작전권 전환을 앞두고 효과적으로 대북감시를 하려면 군사용 정찰위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대선 기간 대북 감시 능력 확보를 위해 군사전용 위성과 무인정찰기 등 필요한 능력을 단계적으로 확보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군사용 정찰위성 확보에는 수천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중장기 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교육과학기술부는 군사전용 정찰위성보다는 다목적 위성을 쏘아 올려 정찰 기능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사업 추진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공군은 저궤도 위성인 정찰위성과는 별도로 정지궤도에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북한 미사일을 탐지하는 조기경보위성(DSP) 확보 사업에 대한 소요를 제기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