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모를 ‘脫대구’…인구 순유출 20년째
끝모를 ‘脫대구’…인구 순유출 20년째
  • 강선일
  • 승인 2015.03.19 17:3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1만5천여명
250만 마지노선 붕괴
경북도 10년째 지속
젊은층 이탈 많아
대구의 인구 순유출이 20년째 지속되고 있다. 경북도 지난 10년간 2011년을 제외하고 작년까지 순유출이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율 감소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 부족 및 교육경쟁력 저하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대구와 경북의 인구 순유출은 20∼30대를 중심으로 이뤄져 지역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탈(脫) 대구’ 20년째 지속= 19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내놓은 ‘2014년 대구·경북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는 총전입 35만213명, 총전출은 36만5천739명으로 인구 순유출이 1만5천526명에 달했다. 이는 전년보다 4천175명이 더 늘어난 순유출 규모다.

대구는 1995년 이후 작년까지 20년째 인구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 인구는 작년 12월 기준 249만3천264명(주민등록인구, 외국인 등록인구 제외)으로 250만명이 무너졌다.

경북 역시 지난해 총전입 33만7천41명, 총전출 33만8천29명으로 988명의 순유출을 보였다. 전년보다 순유츌 규모가 877명 줄었지만 2011년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작년까지 순유출이 계속됐다.

연령대별로는 대구는 10대 미만(577명 순유입)을 제외한 20대(7천151명)를 중심으로 30대(1천913명), 40대(1천672명), 50대(2천902명), 60대(1천104명) 등 전 연령대에서 순유출을 보였다.

그나마 경북은 귀농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50대(4천223명), 40대(2천430명), 60대(1천872명), 70대 이상(393명)에서 순유입을 보였지만, 대구와 마찬가지로 20대(7천18명)와 30대(861명), 10대 미만(1천608명)과 10대(419명) 등 젊은층은 순유출을 나타냈다.

이들 순유출 인구가 향한 지역으로는 공동생활권인 경북(4천808명) 및 대구(4천808명)를 제외하고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비롯 전 지역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대구의 경우 △서울 3천673명 △경기 1천852명 △경남 889명 △부산 857명 △울산 560명 △충남 525명 △세종 334명 등 전 지역에서 순유출이 일어났다. 경북은 △서울 2천340명 △충남 1천130명 △대전 568명 △경기 520명 △울산 480명 △세종 333명 등에선 순유출을 보였지만 △광주 134명 △경남 127명 △전북 88명 등에선 순유입이 발생했다.

시·군·구별로는 대구는 혁신도시 이전 등에 따라 동구(3천781명)·중구(2천530명)·수성구(152명)는 순유입을 보였지만, 나머지 5개 구·군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경북은 경북도청 이전 영향 및 대구의 생활권 확대 등으로 안동(635명)·경산(547명)·포항(503명) 등 10개 시·군에서 순유입을 보인 반면 경주(619명)·영주(526명)·구미(409명) 등 13개 시·군은 순유출을 나타냈다.

△성장동력 저하 등 악순환 되풀이= 대구와 경북의 이같은 인구 순유출 지속은 ‘인구감소→노동 공급 및 소비 감소→기업 및 주택투자 감소→성장동력 및 경제성장률 하락→인구감소’란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공급과 수요차원의 경제 악순환으로 되풀이 돼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인구 순유출이 가장 많은 20∼34세 사이 청년층은 물론 이들의 자녀 세대인 10대 미만 인구의 감소 지속은 향후 지역경제 성장 및 발전 가능성이 그만큼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잣대가 되고 있다. 게다가 서울 등 기존 수도권에 그쳤던 인구 순유출이 정부 청사이전 등에 따라 신규 일자리가 늘고 있는 대전·충남·세종과 함께 울산·경남·부산 등 비수도권으로의 유출이 늘고 있는 것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는 지속적으로 지적돼 온 양질의 고용기회 및 교육 경쟁력 부족은 물론 대구와 경북지역의 경제상황이 그만큼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여겨진다. 실제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20년째 전국 최하위를 독차지하는 상황이 이를 반증한다.

동북통계청 관계자는 “대구와 경북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 풍부한 인적 인프라를 갖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는 커녕 타 지역으로 뺏기고 있다”면서 “고부가가치 성장산업 유치 및 지식기반서비스업 활성화 등의 대책을 통해 청년층의 인구 유출을 막는 것도 좋지만 보다 실효성있는 대책을 검토·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선일기자 ksi@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