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논단] 국가보훈부에 바란다
[대구논단] 국가보훈부에 바란다
  • 승인 2023.03.13 21: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대열 대기자·전북대 초빙교수
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거나 부상을 입은 사람 그리고 공로가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정부는 많은 지원을 해왔다. 보훈단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는 단체들이 14개다. 이 단체들은 국가를 위해서 헌신한 분야에 따라서 제각기 다른 명칭을 사용한다. 독립운동을 했던 선열들을 기리는 가장 큰 단체는 광복회다. 광복회에 대해서는 일제 강점기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광복군을 조직했던 선열들이라 가장 높은 훈장으로 예우하고 그 유족에 대해서도 품위유지에 필요한 응분의 예우를 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보훈단체들의 운영실상을 들여다보면 지난번 광복회장을 맡았던 전직 국회의원이 공금을 횡령하여 사적으로 썼다는 것이 드러나 사퇴하는 불상사를 야기한 것처럼 매우 불투명한 문제점이 많은 듯싶다. 명색이 국가에 헌신한 분들로 구성된 단체들이 아무리 쪼들리더라도 재정을 소홀히 다룬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들에게 일정한 지원을 하고 있는 보훈부가 엄격한 감사기능을 발휘한다면 횡령과 같은 사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국가보훈부는 6월5일 현충일 전날에 정식으로 발족하지만 이미 여야합의로 정부조직법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이튿날 윤석열대통령이 이를 공포함으로서 공식화되었다. 윤석열정부가 발족한 후 새로 임명된 박민식 보훈처장은 그동안 많은 청원이 이어졌던 수유리 무후독립군 합동묘소를 대전 현충원으로 이장하는 쾌거를 단행하여 많은 칭송을 들었다. 나는 조대용 김선홍과 함께 지난 10여년 동안 26차례에 걸쳐 아무도 돌보지 않던 합동묘소에 설과 추석 다음날 추모식을 거행한 후 합동차례를 모시는 역할을 해왔다. 도봉구 김선동 국회의원이 빠지지 않고 참석했다. 순국선열숭모회의 이름으로 차례를 모시는 행사를 눈여겨 본 강북구 박겸수구청장이 그 후 전사상(戰士像)을 건립하여 독립군의 이미지를 높이기도 했다. 추모식에서 나는 숭모회를 대표하여 후손이 없다고 국립묘지 안장이 안 된다는 이유를 계속 따져 물었다. 역대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가부 답변조차 없었다.

윤정부가 들어서면서 전격적으로 8월11일 육해공군해병대 의장대까지 동원하여 파묘한 후 유골을 한분 한 분 따로 수습하여 현충원에 안치한 다음 8월14일 현충관에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봉송식을 거행하고 대전 현충원 7구역에 고이 모셔졌다. 숭모회 회원들은 추석과 설날 두 차례에 걸쳐 묘소를 찾아 추모의 행사를 가졌지만 가슴 한 구석은 찬바람이 썰렁했다. 그것은 묘비에 독립군 한 사람 한 사람마다 반드시 새겨져야 할 이름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었다. 17위 비석이 모두 수유리 독립군묘소라고만 쓰여 있다. 오랜 세월이 흐르다보니 유골이 섞일 수도 있겠지만 모두 전우들이니 오히려 그게 정상일 수도 있다. 비석 하나하나에 독립군의 자랑스러운 이름을 새기는 것이 국가보훈부가 행해야할 의무요 권리다.

지금 국가보훈부에서는 돌아오는 4·19혁명 63주년기념일에 대비하여 그간 누락되었던 4·19혁명유공자 추가포상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4·19혁명은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항의하여 전국의 모든 학교와 학생들이 들고 일어났던 시위운동이 단초가 되어 186명의 희생자와 6500여 명의 부상자가 생겼던 학생시민 혁명이었다. 1년 후 5·16군사쿠데타에 의해서 4·19는 의거로 낮춰졌고 군사독재 하에서 혁명의 큰 뜻은 바래졌다. 미국과 프랑스 등은 혁명 기념일을 국경일로 가장 큰 행사로 치른다. 한국에서는 엉뚱하게도 2·28이나 3·8 그리고 3·15같은 의거와 동일한 국가기념일로 홀대하고 있어 반드시 국경일 승격이 필요하다. 이는 이번 추가포상 심사에서 발현되어야 옳다. 유공자의 평균 나이가 만 82세다. 아마도 이번 심사가 마지막일 수 있다는 얘기도 나돈다.

박민식처장은 “한 분이라도 더 살아 계실 때 영예로운 포상을 추진, 관련자료 발굴 등 정부입증 책임을 강화할 것”을 다짐했다. 특히 학교사(學校史) 등 자료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겠다는 의지는 참신하다. 새로운 보훈부에 기대가 크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등록일 : 2023.03.17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