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아리랑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中, 아리랑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 김덕룡
  • 승인 2011.06.23 19: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역사 왜곡이 고조선과 발해사 등 고대사의 자국 편입 기도에 이어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 분야에까지 발을 뻗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선 국내 행사와 각종 국가홍보 자리에서 한국의 민요, 의상, 음식 등 한국의 전통 문화를 중국의 것으로 소개하는 억지 흡수·편입현상이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펼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 자체적으로 보다 체계적인 대응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하고 있다.

◇아리랑이 중국 문화재? = 한국에서 홀대를 받던 ‘아리랑’이 중국 국가 문화재로 둔갑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국내 문화 시민단체들은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일환’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중국이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을 비롯해 판소리와 가야금, 씨름 등 조선족 전통 민요와 풍습을 중국 국가 무형문화유산으로 대거 등재했다고 길림신문 등 중국 언론이 지난 21일 보도했다. 이는 자국 내 소수 민족인 조선족의 전통 민요라는 이유에서다.

중국은 조선족 등 국내 55개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오래 전부터 융화정책을 펼쳐왔다.

1987년에 발행한 중국 화폐에는 한복을 입은 조선족이 등장했고,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조선족의 부채춤과 장구춤이 무대에 올랐다.

지난 2005년에도 한국 풍물놀이 중 하나인 상모춤을 무형문화재로 등재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아리랑 관련 국내 단체인 한민족아리랑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아리랑을 한국의 100대 상징의 하나로 선정, 2008년부터 아리랑 세계화 사업팀을 운영하며 국가 브랜드 사업과 연동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분명한 위협”이라고 지적하며 “항의로 수정될 사항이 아니라는 점에서 사태의 심각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조선족 동포들의 아리랑을 등재한 것이니 문제가 되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번 지정이 동북 공정의 일환이고 북한과 일정부분 논의를 했으리라는 점 그리고 특히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예비 작업일 수 있다는 점이서 단순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 中 문화 침탈 대책이 없다 = 중국이 한국 고대사를 자국 역사에 편입시키는 동북공정을 추진한데 이어 자국 소수민족 문화를 국가문화유산으로 등재한다는 명분 아래 우리 문화의 자국 편입까지 추진하고 나서는 등 문화와 역사 침해가 노골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동북공정에 이어 지난해 조선족이 사용하는 ‘조선어’를 자국 언어라고 우기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첨단 정보기기 한글 입력방식의 국제 표준 제정을 추진키로 해 문제가 됐다.
그 동안 중국이 진행해온 동북공정이 고구려 발해 등 한국 고대사 왜곡이었다면, 한글공정은 언어관련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어 더욱 충격적이다.

현재까지 중국 정부는 조선어를 사용하는 북한과 한국의 의견을 수렴해 표준을 만들기로 하고 국제 협력까지 제안한 상황인데, 자국 내 수많은 소수민족 언어에 대해 표준을 정립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역사와 문화 침탈 시도는 우리 역사의 흔적이 광범위하게 남아 있고 우리 민족인 조선족의 터전인 만주에 대한 지배가 이뤄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어서 정부나 문화당국이 대응책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동북공정 이후에도 우리 정부가 중국에 문화 역사 침탈에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류일윤 글뿌리 출판사 대표는 “중국이 아리랑을 자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등재시킨 까닭은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라고 밝혔다.

박재환 대구문화예술회관 관장은 “동북공정에 이어 지난해 문제가 됐던 한글 공정, 그리고 아리랑 등 중국이 통째로 자국화 하려는 것”이라며“그동안 중국이 얼마나 치밀하게 우리의 문화를 송두리째 침탈하려는 계획을 해 왔는지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