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경로 불규칙 ‘H5형’ AI, 서해안 중심 전국 발생
감염 경로 불규칙 ‘H5형’ AI, 서해안 중심 전국 발생
  • 승인 2016.11.21 18: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당국 “철새 전파 가능성”
/news/photo/first/201611/img_212103_1.jpg"/news/photo/first/201611/img_212103_1.jpg"

중국에서 6명의 목숨을 앗아간 H5N6형 조류인플루엔자(AI)가 서해안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 오리와 닭 집단 폐사나 예방적 살처분이 잇따르고 있다.

과거 발생했던 AI에 비해 폐사율이 훨씬 높고, 전파 속도도 빨라 그 어느 때보다 피해가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예년에는 AI가 발생한 최초의 농장에서 바이러스가 이웃 농장으로 번지는 패턴이었으나 이번에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새끼 오리나 병아리를 분양하는 과정에서 AI 바이러스가 퍼지거나 사료 배달용 차량에 의해 확산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감염 경로가 명쾌하게 밝혀졌던 것과는 달리 올해 AI 발생은 일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전국에서 들쭉날쭉 전방위적으로 발생한다.

야생 철새가 월동하는 하천이 농장 주변에 있다는 것 말고는 공통점을 찾을 수 없어, 발병 원인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야생 철새가 먹이가 풍부한 서해안 일대 하천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는 곳마다 AI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올해 AI가 처음 확인된 것은 지난 11일이다.

충남 천안시 풍세면 남관리 소재 봉강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을 정밀 검사한 결과 지난 11일 H5N6형의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이 야생조류 분변은 지난달 28일 채취한 것이다. 다시 말해 AI가 확인되기 20여일 전에 봉강천 일대가 이미 AI가 감염됐다는 얘기다.

지난 11일 전북 익산시 춘포면 만경강 일대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도 같은 유형의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지난 14일 확인됐다.

야생조류에서 AI가 검출되면서 충남과 전북에 비상이 걸렸다. 바이러스 검출 지역 가금류 사육 농가에 대한 이동 제한조치를 취하고 차단 방역에 힘을 써 왔다.

그러나 정작 AI 의심 신고는 전남과 충북의 오리농장에서 했다.

지난 16일 전남 해남의 산란계 농장과 충북 음성의 육용 오리 사육 농가에서 닭과 오리가 집단 폐사했다는 신고가 각각 접수됐다. 확인 결과 두 농장 모두 H5N6형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

사흘 뒤인 지난 19일 청주 육용 오리 농가와 경기 양주의 산란계 농장에서 재차 집단 폐사했고, 같은 날 도축장 출하를 위해 검사를 한 전남 무안군의 육용 오리 농가에서도 AI 감염이 확진됐다.

21일에는 전북 김제시 금구면의 한 농가가 사육하는 육용 오리 100마리가 집단 폐사, 축산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강·하천이나 확진·의심 농가가 소재한 시·도를 살펴보면 감염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충남 천안에서 처음 바이러스가 검출된 이후 전북 익산→전남 해남→충북 음성·청주→전남 무안→경기 양주→전북 김제 순으로 럭비공 튀듯 불규칙적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역학조사를 해도 전파 경로를 파악하기 어렵다.

축산당국 관계자는 “역학조사를 하고 있지만 명확한 전파 경로가 파악되지 않는다”며 “AI가 서해안을 중심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철새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