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마크원외과의원 원장
시의사회 정보통신이사
대한의사협회는 사태 초기인 지난 1월 26일 후베이성 뿐만 아니라 중국 주요 5개 지역으로부터의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성명을 발표했었고 이후에도 수차례 중국으로부터의 전면 입국 금지 등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해왔다. 만약 정부가 대한의사협회의 권고안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면 대구지역 신천지 교인들이 피감염자가 되지 않았을 것이며 이렇게 일파만파 확전되지 않았을 것이다. 결과론으로 치부한다면, 맞다. 결과를 따져 이야기하는 것이다. 근거중심의 현대 의학에서 ‘잘못된 결과’는 ‘잘못된 과정’의 탓이다. “전문가집단의 권유를 정치적인 입장이라며 프레임을 씌우는 것이야말로 정치적인 것이다.” 라는 의사협회장의 발언이 결국 옳았다는 사실을 이제 와서 깨닫게 되었다 한들, 이미 엎질러진 물을 어찌해야 할지 모르는 현재의 이 결과 말이다. 지난 행정부 시절인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에도 필자를 비롯한 많은 의료인들이 여타 칼럼과 성명을 통해 우리나라의 부실한 전염병 방어 시스템을 비판했던 적이 있다. 아시다시피 그때와 지금의 행정부는 다르며 정치적 스탠스도 다르다. 의사 집단의 전문성은 앞서 언급했듯이 그 안에 ‘의료윤리’를 내포하고 있다. 이를 일반적인 사회윤리의 범주에서 정치적으로 해석한다면 그 어떠한 행정부라 하더라도 지난 과오를 계속 반복할 뿐이다.
베트남은 우한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확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일찌감치 중국으로부터의 모든 입국자를 차단한 41개 국가 중 하나이다. 2월 21일 기준 베트남의 확진자 수는 16 명이며 이중 15 명은 완치 판정을 받았다. 앞으로의 상황은 더 두고 봐야겠지만, 동일한 시간을 매우 다르게 보낸 2월 23일 오후 4시 기준 확진자 602명인 우리나라와는 크게 다르다. 사태 초기, ‘우한 코로나’ 라는 명칭은 특정 지역에 대한 혐오감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신종 코로나’로 불러야 한다고 권고하는 강력한 배려심을 보였던 정부가, 정작 최근 행정부 문서에서 ‘대구 코로나’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논란이 된 것은 이번 사태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왜곡되어 있었던 결과물이 아닌지 심히 염려스럽다. 애당초 광범위 입국제한에 소극적이었던 정부 정책의 피해자인 대구시민들을 포함한 국민들에게 사과해야할 상황이 아닌가? 그리고 이제라도 전문가의 의견을 최우선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오히려 경제논리, 정치논리를 우선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반성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