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릿하지만 몽환적 ‘신비로운 매력’
흐릿하지만 몽환적 ‘신비로운 매력’
  • 황인옥
  • 승인 2020.09.23 21: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리안갤러리 카틴카 램프展
붓자국 제거된 독특한 기법
대상의 정보 모호하게 처리
작품 이미지에 자신의 경험 투사
관객에 무한한 해석의 여지 남겨
카틴카램프
카틴카 램프 작 ‘1318206’. 리안갤러리 제공

어린 아이의 초상화에서 작가 특유의 손맛이 묻어난다. 인물의 정체성이나 감정상태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전통초상화와 달리 고개를 숙이거나 옆모습이나 뒷모습을 그려 모델의 정보를 드러내지 않았다. 윤곽 또한 흐릿하게 처리해 몽환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작품의 제목도 일련의 숫자여서 궁금증을 더한다. 전통초상화의 재해석이자 확장이다. 리안갤러리에서 두 번째 개인전을 시작한 네덜란드 작가 카틴카 램프(Katinka Lampe, b.1963~)의 작품이다.

초상화를 그리는 작가일수록 주변인물을 모델로 할 가능성이 높다. 언제든 그릴 수 있어야 하는 대상을 선호하는 까닭. 램프 또한 자신의 딸이나 주변의 인물을 그린다. 하지만 자신의 딸마저도 정체성을 드러내는데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한다. 철저하게 작가의 시선을 통해 재창조된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정면 포즈일 경우마저 얼굴을 숙이거나 눈을 내리깔게 처리해 대상의 정보를 모호함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그녀 특유의 화풍이다. 이는 ‘익명성’을 위한 작가 나름의 표현법이다.

‘익명성’은 카틴카 램프 작업에서 중요한 메시지다. 뛰어난 미감으로 대상을 정밀하게 묘사하지만, 사실적인 재현을 배제한다. 얼굴 정면을 그리더라도 관람객과 시선을 정면으로 마주보지 않는다. 설상가상 눈, 코, 입이나 얼굴과 머리나 목 등의 윤곽을 모호하게 그리거나 초현실에 가까운 색채로 처리한다. 천상의 천사가 이런 모습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초현실적이다. 구성적인 요소를 없애고 모델의 얼굴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다. 이 모든 표현법은 ‘익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가 나름의 제스쳐다.

‘익명성’이 가지는 힘은 ‘자유의 확장’에 있다. 제한된 정보에 가두지 않고 해석의 여지를 무한하게 열어둠으로서 감상자의 해석에 대한 여지를 높이는 것. 램프가 ‘익명성’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 또한 바로 이 ‘해석의 자유’에 있다. 관객이 화면 속 이미지에 자신의 이야기를 투사하여 성찰의 경험을 하게 된다면 램프의 의도가 적중한 것이다. 램프는 “마치 거울처럼 반사하는 이미지(ReflectiveImages)에서 관람자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고 그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며 위로받기를 희망”했다.

10겹으로 겹쳐 올린 밝고 화사한 초현실적인 카틴카 램프 초상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은 지하 1층에 전시된 ‘6080181’(2018). 여자 아이가 입고 있는 옷은 물감이 마르기 전에 붓 자국이 선명한 부분을 문질러 윤곽을 흐릿하게 표현한 것인데, 이는 화면 속에 기법이나 테크닉과 같은 작가의 존재감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붓 자국이 제거된 매끄러운 화면을 통해 온전한 이미지가 작품을 지배하도록 만들었다.

옆모습을 담은 작품 ‘1318206’(2020)에서 여자아이는 하얀 베일을 덮어 쓰고 있다. 어두운 배경과 강한 대비를 이루어 시선을 사로잡는데, 베일은 종교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 같기도 하고 중세시대를 떠오르게도 한다. 사회 다방면에 걸친 작가의 관심은 은유와 상징을 통해 작품에 드러나며 관객이 주관적 의미를 담아 해석하기를 제안한다.

카틴카 램프는 스헤르토헨보스 미술 디자인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현재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아트 트래블 매거진, 엘르 데코, 퍼블릭아트 매거진 등 수많은 잡지에 램프의 작품이 실렸으며, 유럽과 미국의 여러 미술관, 갤러리에 전시되어 왔다. 현재 미국 21C 박물관, 아른헴 미술관, 암스테르담 ING컬렉션, 한국 아모레퍼시픽미술관, 베를린 살롱 달만, 고셀 모어 박물관 등 전 세계 유수의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이번 리안 갤러리 전시는 국내 첫 전시 이후 8년만에 열리는 작가의 두 번째 개인전으로 신작을 포함한 회화 17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10월 31일까지.

황인옥기자 hio@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