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요하네스버그 현지에서 중견 5개국 협의체인 '믹타(MIKTA)' 정상 회동을 주재했다.
한국은 올해 2월부터 1년간 의장국을 맡고 있으며 이 대통령이 주재한 이번 회동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앤소니 알바니지 호주 총리,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에드가르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장관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제 사회의 공동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자주의 회복 및 국가 간 협력의 실질적 진전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하며, 이 같은 취지를 담은 공동 언론 발표문을 채택했다.
공동 언론 발표문에서 정상들은 "믹타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면서 글로벌 다자주의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올해는 이런 믹타의 정체성과 역할을 재확인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계속되는 지정학적 긴장,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공급망의 복잡성, 빈곤과 불평등, 기후 위기 등 국제사회의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도전 과제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표명하며, 이런 상황에서 믹타가 지속 가능한 국제질서 구축에 건설적 역할을 할 것을 강조했다.
이들은 다자주의 및 국제협력 증진, 민주주의, 국제법 준수 등 핵심 공동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믹타 차원의 역할 강화를 강조했다.
정상들은 올해 의장국인 대한민국의 3대 우선 과제인 '평화 구축•청년•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이행 가속화'에 대해 지속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또한 내년 의장국인 호주가 공동의 우선 과제들에 대한 포용적 대화와 실용적 협력을 진전시키기를 기대한다는 내용도 발표문에 명시했다.
성평등 이슈에 대해서도 합의를 이뤘다. 정상들은 "모든 분야에 있어 여성들의 완전하고 안전하며 동등하고 의미 있는 참여와 리더십을 우선시할 것을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민사회, 학계, 청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다자주의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도 주목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믹타 정상회동에 앞서 각국 정상들을 영접했으며, 특히 에드가르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장관과는 'K-팝'을 주제로 환담을 나누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믹타(MIKTA)는 멕시코(M), 인도네시아(I), 한국(K), 튀르키예(T), 호주(A) 등 다섯 개 중견국으로 구성된 협의체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의견을 조율하고 글로벌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