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2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막한 가운데, 회의 첫날 폐막일에 채택하는 것이 관례였던 'G20 남아공 정상선언'이 전격적으로 채택됐다.

이는 이번 회의를 보이콧하고 공동 선언문 채택에 반대 입장을 표명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를 겨냥한 조치로 해석되며, 다자주의 원칙을 강조하려는 다른 회원국들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빈센트 마궤니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회의 시작 단계에서 "압도적인 합의와 동의가 이뤄졌다"며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정상 선언이 채택됐음을 밝혔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역시 개막식에서 "일반적으로 선언문은 회의 마지막에 채택되지만, 정상선언을 첫 번째 의제로 삼아 먼저 채택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이례적인 결정을 강조했다.

이에 앞서 미국은 남아공의 '백인 농장주 박해' 논란과 G20 의제 갈등 등을 이유로 회의에 불참했으며, 자국의 동의 없이 공동 선언이 채택되는 것에 반대하며 '의장성명'만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남아공 정부에 전달한 바 있다. 그러나 라마포사 대통령은 "겁박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반발하며 첫날 채택을 강행했다.

남아공 국제관계협력부(외무부)가 공개한 30페이지, 122개 항 분량의 'G20 남아공 정상선언'에는 국제 사회의 복잡한 도전 과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메시지가 담겼다.

핵심 강조 사항으로는 다자주의 재확인 및 동등한 참여, 다자 협력의 중요성, 유엔 헌장 준수 및 영토 보전, 평화 촉구, 기후 변화 및 재생 에너지 등이다.

선언문에는 향후 G20 정상회의 개최국에 대한 약속도 포함됐다. 정상들은 "2026년 미국 의장국 하에서 협력하고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고 밝혀, 2028년 G20 정상회의 한국 개최를 공식적으로 공표했다.

한편, 미국은 폐회식에서 차기 의장국 인수인계 행사를 위해 미 대사관 관계자 참석을 요청했으나, 남아공 정부가 이를 거부하며 이양식 무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트로이카(직전•올해•차기 의장국)' 일원이 정상회의에 공식 대표단을 보내지 않은 초유의 사태로 기록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