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
사회부
최근 의대 정원 증원을 둘러싼 이른바 의·정 갈등이 우리 사회의 큰 화두가 됐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은 전공의들의 집단이탈과 일부 의대 교수들의 휴진으로 이어지며 환자의 고통과 함께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 사이의 이견은 여전히 깊고 앙금도 있지만 양측 모두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것은 단순히 타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의료 서비스와 국민 건강을 위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이다.

첫째, 정부는 의료계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하고 의대 교육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의료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하루빨리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료계와의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둘째, 의료계는 정부의 제안에 대해 건설적·합리적 비판을 제시하며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원점 재검토’라는 일방적인 반대가 아니라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국민의 입장에서는 의료 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이 중요하다.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이 장기화하면 그동안 쌓아 올렸던 ‘K 의료’의 빛나는 공든 탑이 와르르 무너질 수도 있다.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임시방편이 아닌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결국 의대 정원 증원 문제와 관련된 의정 갈등의 출구전략은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정부와 의료계, 그리고 국민 모두가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화와 협력을 통해 지혜를 모으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의료계의 안정과 국민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의료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의대 정원 증원이라는 단일 이슈를 넘어 보다 포괄적인 의료 정책과 시스템을 재검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때다.

yj@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