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친구를 만들려고 애쓰지 않아도 친구가 되었다. 친구가 많으면 좋지만, 단 한명이라도 아주 친한 ‘절친’이 있으면 세상은 외롭지 않다.
홍희에게도 그런 친구가 있었다. 한 동네 아이였다. 집이 바로 옆에 있었다. 두 집 건너 살다가 담장 너머 집으로 이사왔다. 새 집을 크게 지었다. 홍희 부모님보다 10년은 젊은 부모님들이 빨리 돈을 모았나 보다. 새 집은 궁궐 같았고, 방도 넓고 세 개이고, 부엌도 마당도 홍희네보다 두 배 크기였다.
부러운 마음, 시샘하는 마음은 없었다. 어려서인지 순수해서였는지 자신이 스스로 만족스러웠는지, 남과 비교하는 일은 하지 않았다. 크고 새 집으로 이사를 가서 옆집에 사는 것이 마냥 좋았다. 담장너머로 친구를 볼 수 있고, 부를 수 있어서 좋았다. 가까이 있어서 좋기만 할 따름이었다.
새 집으로 이사온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친구네가 대구로 이사를 간다고 했다. 부모님이 젊어서 도시로 나가서 돈도 많이 벌고 아이들 공부도 잘 시키고 싶은 마음이었나 보았다. 홍희는 가까이 이사온 친구가 떠난다는 사실에, 같이 이사가고 싶었다. 새로운 학교, 친구를 만나고 공부를 할 친구와 같이 있고 싶었다.
밤에 부모님은 옆집 이야기를 했다. 우리도 대구로 갈까 하는 의논이어서 가만히 듣고 있었다. 혹시나 하는 기대감으로 숨죽이며 귀기울였는데 결론은 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아버지는 고향을 떠나기 싫었던 것 같고, 도시에 가서 무슨 일을 할지 막막하고 자신이 없었던 것 같다. 학력도 능력도 체력도 좋지 않은 아버지가 도시에서 할 일은 많지 않았다. 고향에 계속 산다는 말에 한편으론 안도했고 한편으론 아쉬웠다. 친구와 이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놀 수 있는 날이 많지 않으므로 더 자주, 더 많이 놀아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학교갈 때 친구를 부르러 갔는데, 그 친구는 이미 다른 집에 가고 없었다. 나이 한 살 많은 친척 언니네 집에 갔다고 했다. 그 애 엄마의 약간 싸늘한 표정이 그 아이의 마음처럼 느껴졌다.
늘 같이 가던 학교를 혼자서 걸어갔다. 어색했다. 혼자서 공동묘지를 지나가려니 무서웠다. 그 친구는 다른 아이와 함께 가면서 깔깔거렸을까, 무섭지도 않고 외롭지도 않았겠지. 홍희가 그 아이를 생각하는 만큼 홍희 생각을 했을까. 그 아이가 걸어가는 공동묘지와 홍희가 혼자서 가는 묘지는 바람과 햇살의 색깔이 다를 것이다. 동네에 같은 나이 여자아이가 두 명이나 더 있었지만 그 아이들과는 얘기도 잘 하지 않았고, 오로지 그 아이와 놀았고 더는 다른 친구가 필요없었다. 그랬던 아이가 다른 아이와 가버리자 홍희는 친구가 없는 아이가 되었다.
그 날 학교에서 아이들을 봐도 생기가 없었고, 먼저 알은체를 하고 놀지도 못했다. 홍희의 기운을 가라앉게 만든 그 아이, 그 아이는 아무렇지도 않게 아이들과 놀고 있었다. 홍희를 본 척도 하지 않고 말이다. 홍희가 무슨 잘못이라도 한 것처럼 굴었다.
홍희 스스로 죄지은 사람처럼 주눅들어 있었다. 교실도 운동장도 흐린 날이었다. 수업도 집중이 안 되었다. 이 세상에 혼자 내버려진듯한 적막감. 가슴 한 조각이 떨어져 나간 것 같은 느낌. 다른 아이들로 채워지지 않았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도 그 아이는 또 다른 아이와 가버렸다. 홍희는 울음이 나올 것 같은 느낌이었지만 참았다. 울지는 않았다. 울면 초라할 것 같았다. 바보가 될 것 같았다. 울지 않으려 애쓰며 걸어왔다. 그 길이 그렇게 길고도 멀고도 험한 길인 줄 그 날 처음 알았다.
홍희를 따돌리고 다른 아이와 가버린 그 아이가 야속했다. 슬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