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포럼21 정책토론회 참석
“당시 매끄럽지 못한 공천 과정
주민 실망·표 분산으로 이어져
이번엔 잡음 없이 잘 할것” 강조
“낮은 자세로 소통하는 인물 필요
법원서 유죄 판결 받은 후보들
스스로 출마 자제해야 할 필요”

내년 6·3 지방선거에서 경북도를 이끌 구자근 의원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인) 2018년 재현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구자근(구미시갑) 국민의힘 경북도당위원장은 17일 대구아트파크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제143회 릴레이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박정희(전 대통령) 고향인 구미에서 2018년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장이 탄생했는데 (이번 선거에서는)구미시장을 절대 민주당에 뺏기지 않겠다”며 공천시스템 준수를 강조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2018년 민주당 바람이 불면서 당시 여당 소속 장세용 전 구미시장이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대구경북지역 31곳 기초단체장 중 유일하게 민주당이 차지했던 지역구다.
구 위원장은 “당시 공천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어 탈당과 무소속 출마가 있었고 주민들이 실망하면서 결국 표 분산으로 이어졌다”며 “광역단체장은 중앙공천관리심사위원회에서 하도록 돼 있고 기초 시·도의원 경우 당협위원장 의견을 듣게하는 규정에 따라 시스템 안에서 잡음없이 (공천)잘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제도가 어떻게 바뀔지 모르고 민주당이 여당인 상황에서 2026년은 이전과 다를 것이기에 도의원 연찬회에서도 개인 역량 강화를 주문했다”며 “좀 더 낮은 자세로 소통하고 지속적으로 정성들여 주변을 잘 챙기는 인물이 나와야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법원에서 유죄 판결받은 예비후보들은 분란을 일으킬 수 있으니 나오지 않으면 좋겠다”며 “감점 총점이 15점을 넘거나 결격사유가 뚜렷한 인사는 스스로 출마를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3선 도전 단체장을 두고는 “3선에 성공한 단체장은 연임에 걸려 ‘열심히 안한다’, ‘전같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지역마다 상황이 달라 일률적인 잣대를 들이대면 안된다”고 피력했다.
구 위원장은 이날 대구 취수원 이전에 대해 내년 지방선거 이후에 본격 논의해야 한다는 김장호 구미시장과 입장을 같이 했다. 다만 김 시장이 제안한 김천 감천지역 이전을 두고는 “구미 시민 동의가 우선”이라고 전제를 달았다.
그는 “민감한 문제인만큼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분쟁으로 비쳐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민이 맑은 물 먹자는 취지여서 지자체 간 불협화음이 생기도록 놔두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 여야없이 정부가 나서서 중장기적으로 일관된 정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연기자 ljy@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