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포럼21 정책토론회
“반기업적 법 통과 상당히 우려”
‘포스트 APEC’ 방안도 제시
교육감 출마 질문엔 즉답 않아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가 24일 오전 대구아트파크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제144회 릴레이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아시아포럼21 제공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내년 지방선거 도전에 대한 답을 유보하며 여지를 남겼다. 내달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주력한 이후 결정을 내리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24일 대구아트파크에서 열린 대구경북언론인모임인 아시아포럼21 제144회 릴레이 정책토론회에서 정가에서 불거지는 경북도교육감 출마설을 두고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최적의 답을 얻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양 부지사는 “한 번도 교육감으로 가겠다고 입에 올린 적 없고 아마 주변에서 제가 교사 출신이니 그럴 가능성이 있겠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며 “APEC이라는 엄청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고 그중 한 축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문제는 이후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출범 100일을 넘긴 이재명 정부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시간적으로 좀 짧지만 두 가지는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이 대통령이 실용주의 노선을 택하겠다고 했으나 현재 여의도(국회)쪽에서는 반기업적인 법들이 통과되고 있어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어 “대구경북(TK)신공항 문제가 걱정되지만 ‘TK신공항 패싱’이 실제로 있지는 않다. 정부에 공공자금관리기금의 이자 부담을 정부가 지원해 줄 것도 건의하고 있는데 결국은 이재명 대통령의 결정사항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APEC 행사 만찬장 변경 논란을 두고는 “국내 귀빈뿐만 아니라 외국 귀빈들까지 초청해 인원이 대폭 늘어나면서 경주 만찬장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 한계가 있었다”고 항변했다.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는 애초 80억원을 들여 국립경주박물관 중정에 정상회의 만찬장을 지었으나 지난 19일 이곳에서 5㎞가량 떨어진 라한셀렉트 경주 호텔 대연회장으로 변경해 논란이 일었다.

양 부지사는 국립경주박물관 만찬장 활용에 대해 “80여억원을 들여 만든 만찬장은 CEO 서밋, 방산과 조선 등 주요 산업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퓨처-테크 포럼, 정상과 CEO 회담 등 경제와 관련한 굵직한 행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행사 이후 ‘포스트 APEC’ 방안도 제시했다. 양 부지사는 “다보스포럼과 같은 문화와 관련된 포럼을 만들 생각으로 한류의 원형과 한식, K-문화를 접목한 경주포럼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APEC이 열리는 동안 산업 역사관 등에서 사용한 디스플레이를 다시 전시할 수 있도록 공원, 문화센터 등을 조성하겠다”며 “멕시코 로스카보스, 베트남 다낭이 APEC을 치른 후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사례를 토대로 APEC을 통해 경주가 세계 10대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지연기자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