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을 때 우리는 몸을 무한한 자산으로 착각한다. 밤을 새워도 괜찮고, 폭음해도 괜찮고, 스트레스는 커피 한 잔으로 날려버리면 된다고 믿는다. 그러나 몸은 아무 말 없이 그 모든 것을 기록한다. 한 잔의 술, 한 번의 폭식, 한밤의 무리함, 그 모든 것이 차곡차곡 장부에 적힌다. 몸은 침묵 속에서 우리의 생활 습관을 기억하고, 세월이 지나면 마침내 청구서를 내민다. 늙음이란 바로 그 청구서가 도착하는 순간이다.
우리는 흔히 건강을 잃고 나서야 깨닫는다. ‘그때 조금만 조심할걸.’ 그러나 몸은 이런 후회를 받아주지 않는다. 이미 기록은 끝났고, 청구 금액은 정해졌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 간 및 심장 질환 등. 그 모든 병의 이름들은 단지 오래된 계산서의 제목일 뿐이다. 젊음의 낭비는 노년의 이자로 되돌아온다. 인생의 장부는 냉정하다. 어릴 땐 이자가 면제된 것처럼 느껴지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복리로 계산된 고통이 우리를 찾아온다.
◇몸의 장부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이 세상에는 ‘무료 점심’이 없다는 말이 있다. 건강의 세계에서도 예외는 없다. 우리가 쉽게 먹고 마시며 즐기는 모든 것은 결국 몸의 회계장부에 기록된다.
담배 한 개비는 폐에, 과음은 간에, 불면은 신경계에 기록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몸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데이터를 축적한다. 그리고 언젠가 결산의 날이 오면, 그 장부는 차가운 진단서로 바뀐다. ‘지금부터는 원금과 이자를 모두 갚으셔야 합니다.’ 병원 진료실에서 들려오는 한마디가 바로 몸이 보내온 청구서다.
젊음이란 부채의 시간이다. 몸은 우리에게 신용을 제공하고, 그 신용으로 우리는 잠을 줄이고, 술을 마시고, 스트레스를 쌓는다. 하지만 몸은 신용불량자를 용서하지 않는다. 체내 세포들은 우리의 행동 하나하나를 복제하며 기억한다. 세포의 기억은 우리의 습관이고, 습관이 바로 운명이다. 무절제의 습관은 서서히 독이 되어 몸의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절제의 습관은 이자를 줄이는 방어막이 된다. 결국 건강은 의지의 기록이자, 인생의 도덕 장부다.
몸은 늘 경고한다. 피곤하면 졸리고, 아프면 통증을 준다. 그러나 우리는 그 신호를 무시하고, 약으로 덮는다. 몸은 경고를 포기하고, 조용히 기록만 남긴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청구서가 날아온다. 그때 우리는 놀란다. ‘왜 이제야 아픈 걸까?’ 하지만 사실, 몸은 오래전부터 알림을 보냈다. 다만 우리가 그것을 무시했을 뿐이다.
◇몸과의 화해, 새로운 장부를 쓰는 법
이제라도 우리는 몸과 화해해야 한다. 건강이란 단지 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몸과의 관계가 평화로운 상태다. 몸의 말을 듣고, 그 리듬에 맞춰 사는 것이 진정한 건강관리다. 몸은 쉬고 싶을 때 신호를 보낸다. 그때는 쉬어야 한다. 배가 고프지 않을 때 억지로 먹지 말고, 마음이 불안할 때는 잠시 숨을 고르라. 몸은 언제나 우리 편이다. 단지 우리가 그 신호를 외면했을 뿐이다.
우리는 흔히 ‘몸이 재산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사실 몸은 재산이 아니라 ‘신용기관’이다. 평생 우리의 행동을 평가하고, 신용도를 기록하며, 그 결과를 건강이라는 형태로 알려준다. 젊을 때의 무절제는 신용불량의 기록이고, 꾸준한 절제와 운동은 신용점수의 상승이다. 몸의 신용이 높을수록 노년의 삶은 안정되고, 낮을수록 병원비와 고통이라는 이자에 시달린다.
삶은 결국 ‘몸의 청구서’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의 문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몸은 기록하고 있다. 늦은 밤의 야식, 쌓인 스트레스, 부족한 잠, 그리고 그 속에 깃든 욕망까지도. 몸은 모든 것을 기억한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몸의 장부는 수정 가능하다는 것이다. 오늘부터 조금만 덜 먹고, 조금만 더 걷고, 조금만 더 웃으면, 몸은 새로운 기록을 써 내려간다. 그 기록이 바로 회복의 역사다.
몸은 우리 인생의 가장 정직한 동반자다. 거짓말하지 않고, 감추지도 않는다. 젊음의 장부를 무시하면, 노년의 청구서가 무겁게 돌아온다. 그러나 지금부터라도 몸의 장부를 새로 쓸 수 있다면, 남은 삶의 이자를 줄일 수 있다. 결국 인생의 가장 큰 지혜는 ‘몸의 말을 듣는 것’이다. 몸은 오늘도 말없이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언젠가 우리에게 물을 것이다. ‘이제, 당신은 그 빚을 갚을 준비가 되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