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사태 여파로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12일 사의를 표명했다.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노 대행의 사의 표명은 지난 7월 심우정 당시 검찰총장이 자진 사퇴하면서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은 지 4개월여 만이다. 사태를 둘러싼 후폭풍이 검찰 내부 갈등까지 불러일으키자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대장동 민간업자들의 1심 판결에 대해 항소 시한인 지난 7일 밤 12시까지 항소하지 않았다.
중앙지검은 일부 무죄가 선고되는 등 다툼의 여지가 있는 1심 판결을 놓고 “기존 업무 처리 관행대로 항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지만 법무부 의견을 들은 대검 수뇌부가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대검 지휘부 판단에 법무부 외압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면서 노 대행이 최근 해명했다. 하지만 이후 대검 연구관부터 참모진인 대검 부장(검사장급), 일선 검사장들 사이에서 사퇴 요구가 터져 나왔다.
박용규기자 pkdrgn@idaegu.co.kr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노 대행의 사의 표명은 지난 7월 심우정 당시 검찰총장이 자진 사퇴하면서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은 지 4개월여 만이다. 사태를 둘러싼 후폭풍이 검찰 내부 갈등까지 불러일으키자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대장동 민간업자들의 1심 판결에 대해 항소 시한인 지난 7일 밤 12시까지 항소하지 않았다.
중앙지검은 일부 무죄가 선고되는 등 다툼의 여지가 있는 1심 판결을 놓고 “기존 업무 처리 관행대로 항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지만 법무부 의견을 들은 대검 수뇌부가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대검 지휘부 판단에 법무부 외압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면서 노 대행이 최근 해명했다. 하지만 이후 대검 연구관부터 참모진인 대검 부장(검사장급), 일선 검사장들 사이에서 사퇴 요구가 터져 나왔다.
박용규기자 pkdrgn@idaegu.co.kr
